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3일 발표한 60세 이상 고령층의 코로나19 4차 예방접종 시기 등을 뒤늦은 결정이 아니냐는 지적에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
정 청장은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접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고령층에 대한 접종을 서둘렀어야 한다는 비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뒷북 결정이라는 지적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날 당국은 오는 14일부터 3차 예방접종 후 4개월이 지난 60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 4차 접종을 실시한다고 밝혀 접종 대상자가 확대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14일부터 요양병원·시설 입소자와 종사자, 면역저하자 등 180만명에 한정해 4차 접종을 권고했다.
정 청장은 “현재 저희가 4차 접종을 하는 이유는 사망과 위중증 예방이 목적”이라며 “또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면역과 접종 후 기간을 고려해 결정하는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60세 이상 고령층이 지난해 12월부터 3차 접종을 시작해 최소 접종 간격 4개월이 지난 시점에 4차 접종을 발표했다는 것이다.
정 청장은 또 “저희가 계속 주기적으로 매주 주간 단위로 백신 효과를 분석하고 접종의 필요성을 검토해왔다. 4개월이 넘어가면 중증 예방 효과도 감소한다는 정보를 토대로 4차 접종을 결정하게 됐다”며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도 오미크론 정점이 지나간 시점에 4차 접종을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이런 유행의 불확실성, 그리고 4개월이 지나면서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근거들이 쌓이면서 의사결정을 했다. 많이 늦었다거나 뒷북 결정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재차 반박했다.
유행이 감소세로 접어드는 상황에서 고령층의 4차 접종 유인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관해선 “백신 접종은 인센티브로 접종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고령층의 경우 접종이 생명 보호 수단이기 때문에 그런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예약이나 접근성 등을 잘 안내해드리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특히 치료비 지원과 연계한 인센티브의 경우 환자에 대한 차별로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