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앞바다에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해저도시 건설 사업이 추진된다.
울산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함께 국비 포함 37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수심 30m와 50m에 3명에서 5명이 체류하는 모듈형 해저 거주공간을 우선 조성한다고 13일 밝혔다.
이 사업은 해양수산부가 공모한 해저공간 기술개발 사업 추진 대상에 선정돼 5년 동안 국비 311억원을 지원받아 해저공간 설계, 시공, 운영, 유지관리 기술을 개발한다.
울산 앞바다는 탁도, 조위, 수온 등 해양환경이 수중작업에 용이하고, 최근 20년간 해저지반 침하이력이 없어 재해안전성도 높다. 또 세계적인 조선해양플랜트 기술을 지니고 있어 해저공간 조성의 최적지로 손꼽힌다.
이를 실증하는 연구는 단계별로 진행할 계획이다. 울산시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1단계로 계획 중인 바닷속 해저도시는 연구원 5명이 수심 50m 해저도시에서 28일간 체류하며 연구·관측 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1단계 기술개발이 끝나고 나면 2단계(2027~2031년)로 수심 200m 아래 30명이 77일간 체류할 수 있도록 확대할 계획이다.
육지와 독립된 생활을 영위할 해저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중건설로봇 등의 첨단 해양플랜트 기술을 비롯해 전자통신, 에너지 저장·활용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 융합이 필요하다.
대규모 해저도시 건설에는 첨단 기술이 필요하다. 수심 100m 아래로 내려가면 100t의 무게가 누르는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수십~수백t 무게와 같은 수압을 견디는 재료가 있어야 한다.
빛이 도달하지 않는 수십~수백m 바다 밑에서 공간 구조물을 짓는 일은 로봇이 담당한다.
에너지의 경우 초기 단계에서 얕은 수심일 때 육지에서 전기를 끌어와 케이블로 공급받고, 깊은 수심일 때 자체적인 에너지 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할 예정이다. 산소의 경우 바닷물을 전기 분해해서 공급할 수 있다.
해저도시 건설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지진·해일 등 재난에 대비한 해양관측 예보 시스템 구축,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수중 데이터 센터 운영, 해양문화 체험 관광 등의 연계사업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울산시는 밝혔다.
앞서 울산시는 지난해 ‘미래 해저공간 건설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시행한데 이어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어업인 단체·대학·기업 등 23개 기관과 민·관·학·연 협의체도 구성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바다 속 미지의 세계를 향한 거대한 도전이 시작되는 것”이라며 “향후 기후변화 또는 자원 고갈 등 미래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