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 구암동 고분군서 도굴 피한 부장품 발견

입력 2022-04-12 15:40
대구 북구 구암동 고분군 제5호분 내부 모습. 북구 제공

대구 북구 구암동 고분군에서 도굴되지 않은 적석봉토분이 발견돼 학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구 북구는 대동문화재연구원과 함께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사적인 고분군 제5호분 발굴조사를 벌이고 있는데 12일 다량의 부장품을 발굴해 공개했다.

조사 대상은 독창적인 적석봉토분의 축조기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매장주체부(주검안치시설)가 도굴 되지 않아 다량의 부장품이 출토됐다. 조사 결과 제5호분은 봉분을 높게 쌓기 위해 일반적인 봉토분의 구획축조(방사상으로 작업구역과 담당자를 구분하는 방식)기법이 적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제5호분의 봉분 속에는 고대토목공법의 골조 개념으로 이해되는 구획석열 14개소가 확인되는데 이 석열들은 호석이 조성된 고분의 가장자리에서 매장주체부가 위치한 중앙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설치됐다.
대구 북구 구암동 고분군 제5호분 구획석열 모습. 북구 제공


크고 작은 할석(깬돌)을 이용해 외줄형태로 한쪽 면을 맞춰 쌓았으며 최대높이는 2.5m 정도다. 구획석열 사이에는 크고 작은 할석들을 빼곡하게 채워 구암동 고분군만의 독창적인 적석봉분 양식을 보여준다.

고분의 축조방식은 수십 년 전 영남지방에서 구명돼 그 내용이 일본, 중국의 고고학계로 전파됐고 국제적인 대형고분 영조기술 해명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 이 적석봉토분에서의 구획축조 내용은 향후 유사한 국내외 적석총의 발굴방법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공정율은 95% 정도로 5호분의 평면형태는 원형으로 주곽과 부장곽이 평면 ‘11’자형으로 배치됐다. 다만 기존의 조사된 고분은 중심이 주곽과 부곽 사이였으나 5호분의 경우 매장주체부인 주곽이 정중앙이며 부곽은 동편으로 다소 치우쳐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주석곽은 내부 길이 5.85m, 너비 1.1m, 높이 1.5m 정도며 벽석은 큰 할석(깬돌)을 사용했다. 바닥에는 전면에 천석(강돌)을 깔았다. 바닥 중앙에는 피장자로 추정되는 인골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형 할석들이 놓여 있어 목관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부장유물 중 북편은 벽을 따라 유개고배(뚜껑 있는 굽다리접시)를 2열로 배치하고 그 주변에 다수의 철기류와 철제 등자(말안장에 달린 발걸이), 행엽(살구나무잎 모양의 말띠 드리개), 은(銀) 장식된 안교 부속구(말 안장 테두리) 등 마구류(말갖춤)를 배치했다.
대구 북구 구암동 고분군 제5호분 모습. 북구 제공


남단벽 아래에는 비교적 큰 토기류가 묻혔다. 유개단경호(뚜껑 있는 목 짧은 항아리) 3점, 발형기대(바리모양의 그릇받침)에 유개장경호(뚜껑 있는 목 긴 항아리)를 올려놓은 유물 2세트가 있다. 중앙부에는 피장자 인골(人骨) 흔적이 확인됐고 머리 쪽 부근에서 금동제 세환이식(금동장식 가는 귀걸이) 1점이 출토돼 머리 방향이 남쪽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주변에서 철제 금동장식품이 출토됐다.

이밖에도 5호분 주변으로 소형의 배장묘(덧댄무덤) 5기를 추가로 확인했는데 본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축조됐다. 의례와 관련된 큰 항아리들이 호석의 둘레를 따라 군데군데 출토됐다. 또 소형 석곽의 주변 고분 4기도 확인됐는데 매장주체부의 장축방향은 대체로 등고선방향과 비슷한 동-서로 제5호분 배장묘들의 매장주체부 방향과 차이를 보인다.

출토유물의 특징과 속성을 고려했을 때 제5호분의 조성시기는 5세기 중후반으로 추정되며 인접한 1호분의 조성시기와 비슷하거나 약간 앞선 것으로 판단된다.

배광식 북구청장은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진 내용들과 앞서 조사된 자료를 취합하면 구암동 고분군의 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대형고분 발굴조사와 복원정비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