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만난 인수위 “일제고사 부활은 아냐, 오해”

입력 2022-04-11 18:32
지난 3월 24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위치한 종로구 광화문 인근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주최로 교육정책 제안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만나 초·중·고교 전수 학력평가 시행 문제와 관련한 우려에 “일제고사 부활은 오해”라고 설명했다. 자립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의 일반고 전환 여부에 대해서는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전교조는 11일 오후 인수위와 간담회를 열고 교육부 통폐합 등 조직 개편 논의와 일제고사 부활, 자사고·특목고 유지, 정시 확대 등의 정책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고 밝혔다.

인수위는 이 자리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후보 시절 공약한 초·중·고교 전수 학력평가 시행과 정시 비율 확대 등이 일제고사를 부활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고 전교조는 전했다.

인수위는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프로그램 등을 통한 학생 개개인의 맞춤형 처방을 위한 과정 중심평가이며 진단 프로그램을 학교가 자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는 전교조의 의견에 동감한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또 “인수위는 입시제도와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7월 출범하는 국가교육위원회에서 논의하고 자사고·특목고 유지 여부에 대해서는 검토 중이라고 했다”고 부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정한철 전교조 부위원장, 인수위에서는 김창경 과학기술교육분과 인수위원과 김윤정·김일수·황홍규 전문위원이 참석했으며 약 70분간 진행됐다.

전교조는 AI 교육 강화, 교육재정 감축, 초등 방과후교실 및 돌봄 시간 연장 등에 대한 학교 현장의 우려를 전달하고 고교학점제에 맞춘 대입 제도 개편, 교원 정원 확보, 학급당 20명 상한제 등도 요구했다.

전교조는 “김창경 인수위원은 팬데믹이 4~5년 주기로 올 것을 예상하며 감염을 줄이기 위해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이 필요하다는 학교현장 의견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