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가 12일이면 50일 앞으로 다가온다. 새 정부 출범 직후 치러지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윤석열정부의 초반 국정동력 확보 여부가 갈리게 된다.
국민의힘이 대선 승리의 여세를 몰아 지방선거에서도 이길 경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집권 초기 국정 드라이브를 걸 명분을 확보하게 된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에 승리를 내줄 경우 새 정권은 집권 초부터 172석의 거대 야당에 끌려가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은 ‘여소야대’ 상황을 내세우며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새 정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점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광화문에서는 (우리가) 여당이지만 여의도에서는 야당”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반대로 민주당은 지방선거에서 윤석열정부 견제론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이미 윤석열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송곳 검증’ 예고와 함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비롯한 각종 개혁 이슈를 전면에 내걸고 새 정권 견제 모드에 들어갔다.
거대 양당은 공통적으로 이번 지방선거 승부처로 수도권을 꼽고 있다. 국민의힘은 오세훈 서울시장을 단일 후보로 내세우며 수성에 나섰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오 시장이 현직이기도 하고 다른 후보에 비해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대선에서 드러난 서울 지역의 부동산 민심과 오 시장이 현직인 점을 감안하면 민주당 후보에 비해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는 게 전반적인 평가다.
민주당은 중량급 인사인 송영길 전 대표를 앞세워 서울 탈환을 노리고 있다. 그러나 대선 패배에 책임이 있는 송 전 대표의 출마를 두고 민주당 내에서 비토 목소리가 강하게 분출하면서 송 전 대표에게 제대로 힘이 실리지 않고 있다. 지난 8일 송 전 대표를 공개 비판했던 박지현 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11일 비대위 회의에서도 “서울은 새로운 후보를 더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당 모두 경기지사를 반드시 차지하겠다고 벼르는 것도 이번 지방선거의 관전 포인트 중 하나다. 이재명 전 경기지사가 민주당 대선 후보가 되기 직전까지 재임했던 곳이어서 ‘대선 연장전’의 성격도 띄고 있다.
국민의힘에서는 대선 주자급인 유승민 전 의원이 일찌감치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했다. 여기에 윤 당선인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인지도를 높인 김은혜 의원이 경쟁에 가세하며 2파전 구도가 형성됐다. 새 정부 출범 직후 통상 여당에 우호적인 여론 흐름을 감안하면 경기지사 탈환도 가능하다는 게 국민의힘 측의 기대다.
반면 민주당은 이 전 지사가 경기도 지역에 가진 영향력을 한껏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 전 지사는 지난 대선 때 이곳에서 50.94%를 득표했었다. 민주당에선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표가 출사표를 던졌고, 5선 중진인 안민석·조정식 의원과 염태영 전 수원시장도 참전하면서 4파전이 벌어지고 있다.
수도권 이외 지역의 양당 라인업도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이날 현역인 박형준 부산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를 각각 부산시장과 경북지사 단수 후보로 확정했다. 민주당에선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충북지사에 도전하는 등 37명이 광역단체장 후보 공모에 신청했다.
정현수 안규영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