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이 우주청 설립·우주산업 육성 최적지” 연구 나왔다

입력 2022-04-11 15:46

대전이 우주청 설립과 우주산업 육성의 최적지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전시는 11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우주 정책 전략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우주정책 추진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우주산업 기반 분석, 우주청 입지 경쟁력 및 설립 타당성 등 연구결과에 대한 보고와 토론이 이어졌다.

발제를 맡은 대전세종연구원 양준석 연구위원은 미국을 중심으로 민간기업들이 우주개발에 뛰어드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국가우주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지만 우주개발을 전담하는 기관이 없어 관련 이슈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와 함께 행정기능적 효율성, 우주기업 현황, 대전의 우주 R&D 역량, 우주클러스터 구축 가능성, 전문인력 공급·양성, 접근성 및 기타 인프라 등을 우주청의 대전 입지 근거로 제시했다.

먼저 대전은 우주정책 수립 부처와 국방부, 3군 사령부와의 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곳일 뿐 아니라 우주산업 분야의 선도기업이 다수 위치하고 있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0 우주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주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는 359개 기업 중 비수도권에서는 대전(17.9%)과 경남(12.0%)이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우주산업에 참여하는 연구기관 34곳 중 대전에만 13곳이 있는 만큼 정책·연구간 상호작용이 원활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 주요도시에 대부분 2시간대로 접근이 가능한 것도 장점으로 꼽혔다.

이택구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우주청 설립이 더 이상 정치적 논리에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며 “미래를 담보하는 백년대계인 만큼 장기적인 시각으로 우주산업을 육성하고, 기틀을 다져 나가는 데 주안점을 두고 준비해 달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