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정부 첫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정호영 경북대 의대 교수가 과거 지역 일간지에 기고한 칼럼이 논란을 빚고 있다. 저조한 출산율을 극복하기 위해 결혼과 출산을 장려해야 한다는 취지의 글이었지만, 일부 표현에 부적절한 인식이 반영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 후보자는 2012년 10월 29일 대구·경북 지역일간지 매일신문에 기고한 ‘[의창] 애국의 길’에서 “지금만큼 애국하기 쉬운 시절도 없다. 결혼과 출산이 그 방법이다”라고 썼다. 또 “암 치료의 특효약은 결혼이다”라는 견해도 내놨다.
그는 칼럼에서 안중근 의사와 윤봉길 의사, 이준 열사를 언급한 뒤 요즘 시대의 애국의 방법으로 ‘결혼’과 ‘출산’을 꼽았다. 그러면서 “결혼만으로 당장 예비 애국자가 될 수 있고, 출산까지 연결된다면 비로소 애국자의 반열에 오른다”고 했다. 이어 “만일 셋 이상 다산까지 한다면 ‘위인’으로 대접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후보자는 급감하는 출산율에 우려를 나타내며 “한국의 출산율은 이미 세계 꼴찌이고 줄어드는 속도는 세계 1위다. 지금의 인구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혼 적령기의 남녀가 모두 서로 결혼해서 한 쌍 당 적어도 2.1명은 낳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계산에 따르면 한국인은 2900년에 멸종하게 된다”며 “100년쯤 더 있으면 이웃 나라 일본도 멸종한다는데 나쁜 건 왜 우리가 먼저 가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설마’하는 의문이 들면 주위를 둘러보자. 20대 여성 10명 중 1명이 겨우 결혼을 했다는 통계가 맞는지 살펴보면 된다”고 썼다.
그는 이어 “거기에 우울한 이야기가 또 있다”며 “50세까지 한 번도 결혼하지 않은 여성의 비율, 즉 ‘생애 독신율’이라는 것이 곧 15%가 될 것이고, 가까운 장래에 20%로 올라갈 전망이라고 한다”고 적었다. 낮은 출산율의 원인을 여성에게 돌리는 듯한 표현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 후보자는 또 노르웨이의 한 연구결과를 언급하며 “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독신남성은 결혼한 남성에 비해 35%, 독신여성은 결혼한 여성보다 22%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 메릴랜드대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거론하며 “폐암 환자의 경우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독신인 사람보다 훨씬 오래 산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며 “암 치료의 특효약은 결혼이라는 말”이라고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심리학적으로 해본 것에 대한 후회가 못 해본 것에 대한 후회보다는 훨씬 낫다고 하지 않느냐”며 “이제 온 국민이 중매쟁이로 나서야 할 때다. 그것이 바로 애국”이라고 덧붙였다.
논란이 일자 정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단은 “10여년 전 외과 교수로서 저출산 현상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으로 다양한 의견 중 하나를 개진했던 것”이라며 해명했다. 이어 “취임하면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고민과 검토를 통해 인구정책을 준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