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량 실측·부품 국산화까지…충남도 수소충전소 관련 실증 착수

입력 2022-04-11 14:07 수정 2022-04-11 14:12

앞으로 수소충전 관련 부품의 국산화가 이뤄지고 수소충전소의 충전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충남도는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 과제 중 하나인 ‘수소충전소 부품·설비·검사 장치 실증’에 착수한다고 11일 밝혔다.

수소충전소는 지속적인 운영 손실, 높은 구축·유지보수 비용 탓에 보급 확대가 정체된 상황이다.

운영 손실은 수소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받는 수소량과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수소량을 측정하는 방식이 달라 발생한다. 업체에게는 부피로 환산하는 체적측정 방식으로 수소를 공급받는다면, 소비자에게는 이를 다시 중량측정 방식으로 무게를 측정해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손실률이 약 23~26% 정도로 추정된다.

보다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려면 충전소에 ‘중량식 검사 장치’를 설치하고 입·출고량을 비교해야 하지만 현행법 상 수소충전소에서는 수소 전기차만 충전이 가능해 검사 장치에는 수소를 충전할 수가 없다.

수소충전소는 특히 충전·제어장치와 압력계, 밸브, 압축기 등 핵심 부품 대부분이 수입 제품이어서 건립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다.

‘수소충전소 충전량 측정 검사 장치 수소 충전 허용’ 특례를 부여받은 도는 이번에 충전량 검사를 위한 설비·장비 구축 실증, 충전소 부품 성능 실증을 추진할 예정이다.

실증 사업에는 서진인스텍 피디케이 발맥스기술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참여한다. 이들 기관은 수소충전소에서 튜브트레일러로 공급되는 수소가 최소한의 손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각 장치 사이에 흐르는 수소유량(流量)을 평가한다.

또 수소충전소 검사 장치의 제작·운영을 위한 안전기준, 충전소 부품의 안전·품질기준을 수립하고 수소 상거래에 적합한 충전소 표본을 개발할 방침이다.

실증에 앞서 도는 국내에서 개발한 유량계의 방폭 인증 획득, 중량식 검사 장치 및 유량계 설치를 위한 내포 수소충전소 개조 작업 등을 진행했다. 실증이 완료되면 수소 상거래 활성화 및 안전성 향상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정확한 유량 측정이 가능해지면 수소충전소의 적자구조를 해소할 수 있고 핵심 부품 국산화로 경제성도 향상될 수 있다”며 “수소충전소와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를 이끌고 관련 산업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