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고문료 18억원에 국민 10명 중 6명 “관행 부적절”

입력 2022-04-11 10:47 수정 2022-04-11 13:37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에 마련된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6명은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의 고액 고문료 논란과 관련해 ‘고위 공직자가 퇴임 후 사기업 고문 등으로 재직하는 관행은 부적절하다’고 응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1일 나왔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는 TBS 의뢰로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13명을 대상으로 ‘한 후보는 법률사무소에서 4년4개월여 동안 근무하며 약 20억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고위 공직자가 퇴임 후 민간기업에서 고문이나 사외이사로 재직하는 관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다.

응답자 63.2%는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17.6%는 ‘적절하다’고 답했고 19.2%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한 후보자는 공직 퇴임 후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4년4개월간 고문으로 일하며 18억원의 보수를 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

한 후보자에 대한 적합도를 묻는 말에는 응답자 35.3%가 ‘국무총리로서 적합하다’고 답했다.

‘적합하지 않다’는 응답은 35.2%였다. ‘잘 모르겠다’는 29.6%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 대한 국정 수행 관련 질문에는 응답자 48.4%가 긍정 전망을 내놓았다. 직전 조사보다 1.2% 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 포인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하는 안심번호를 활용한 무선 자동응답 방식 100%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7%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고하면 된다.

더불어민주당은 한 후보자의 고액 고문료 논란 등을 인사청문회에서 집중적으로 파고들 태세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전날 “한 후보자가 국민통합 민생해결의 창구가 될지, 대기업 로비스트들의 창구가 될 것인지 꼼꼼하게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