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금융 쪽 정통
국회 입성 뒤 기재위서 활동
새 정부의 첫 경제사령탑 후보자로 10일 지명된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은 경제기획원(EPB)부터 시작해 재정경제부,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등에서 30년 넘게 일해온 정통 경제관료다. 1983년부터 사무관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해 2016년 국무조정실장(장관급)에서 퇴직할 때까지 33년간 경제 관료의 길을 걸어왔다. 행정고시 25회로, 홍남기 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보다는 4년 선배다.
추 후보자는 이명박정부에서는 금융위 부위원장을 역임했고, 박근혜정부에서는 기재부 1차관과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했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으로 임명되면 2014년 7월 국무조정실장이 되면서 떠났던 친정 기재부를 약 8년 만에 친정에 복귀하게 된다.
공직을 떠난 추 후보자는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지역구였던 대구 달성군 국회의원 선거에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후보로 당선돼 국회에 입성했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에는 소득주도성장 등 현 정부 경제정책을 견제하는 최일선 역할을 담당했다. 당내에서도 경제 전문성을 인정받아 초선 때부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를 맡았다. 국회에서는 매섭게 정책 허점을 지적하면서도, 상임위 공식 일정 종료 이후 마이크가 꺼지면 늘 기재부 후배 공무원들에게 ‘어려운 점은 없느냐’고 물어보고 격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 내에서도 추 후보자 내정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이 큰 분위기다. 한 기재부 고위 공무원은 “추 후보자는 기재부 입장에서 가장 부담스러운 야당 의원이었지만, 가장 인망이 좋은 (기재부 출신) 야당 의원이었다”고 평가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도 기획조정 분과 간사를 맡았다.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 재산공개 자료에 따르면 추 후보자는 서울 강남구 도곡동 아파트(전용면적 106㎡)를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보유한 1주택자다. 독립생계 등을 이유로 재산고지를 거부한 두 딸과 모친을 제외하고는 총 36억4175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새 정부 첫 경제사령탑으로 취임했지만 추 후보자 앞에 놓인 정책적 과제는 하나하나 녹록지 않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해 10여년 만에 ‘4%대 물가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고물가 상황이 당장 눈앞에 놓여 있다. 대선 공약이었던 소상공인 지원 등을 위한 ‘50조원 추가경정예산안’ 논란(재정), 천정부지로 치솟은 집값(부동산) 등 난제들이 당장 추 후보자가 당면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대구(62) ▲대구 계성고 ▲고려대 경영학과 ▲미국 오리건대 대학원 경제학과 ▲경제기획원 물가정책국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실 행정관 ▲재정경제부 은행제도과장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과장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 ▲금융위 부위원장 ▲기재부 1차관 ▲국무조정실장 ▲20대, 21대 국회의원
세종=이종선 신재희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