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옛 도심에 시민밀착형 스마트시티 기반이 구축된다.
광주시는 최근 국토교통부와 2022년 지역거점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추진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옛 도심을 거점으로 삼아 에너지, 교통, 안전, 환경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인프라와 서비스 체계를 실현하는 것이다.
통합적인 스마트 도시 모델을 조성해 도시의 근본적인 변화를 도모하게 된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4년까지 동구 충장동, 동명동, 서남동을 중심으로 국비 120억원, 시비 120억원, 민자 43억원 등 모두 283억원을 투입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지난해 12월 한화시스템㈜ 컨소시엄, 광주도시공사, 동구청과 공동으로 참여한 국토부 공모에 선정됐다. 이후 국토부 자문 등을 거쳐 시민생활 밀착형 서비스와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사업계획을 보완해 협약을 맺게 됐다.
시는 전남 해남, 강원도 횡성, 경남 창원 등 함께 선정된 4개 지역 중 가장 먼저 협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옛 도심의 대표적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에너지·교통·안전·환경 등 4개 분야 서비스와 인프라를 구축한다. 기후위기에 대비하고 ’RE100(재생에너지 10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시티를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생산해 공유·소비하는 전기차(EV) 충전스테이션인 RE100 메가스테이션을 공공부지에 선보인다. 이를 통해 EV 충전 기반 부족 문제를 덜고 친환경 충전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주차공간 부족에 따른 불편과 불법 주정차 해결을 위해 효율적 주차관리가 이뤄지는 스마트 주차장을 공공 주차장에 도입한다.
범죄 발생이 우려되는 우범지역에는 인공지능 CC-TV와 스마트폴 등을 확충하고 노약자 보호구역에는 스마트건널목을 설치한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심각해진 쓰레기 재활용 문제 해결을 위해 페트병, 캔, 종이 등을 인공지능으로 분류하는 재활용 수거자판기를 설치하고, CC-TV 관제센터와 연계한 데이터 허브도 구축한다.
시는 오는 9월까지 실시설계를 확정하고 국토부 승인을 거쳐 10월 옛 도심에 스마트 서비스망을 개설하는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정훈 시 기획조정실장은 “옛 도심에 모범적인 21세기형 스마트시티 모델을 성공적으로 만들어 전국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