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가 도입 예정이었던 코로나19 백신을 받지 않겠다는 뜻을 국제 공동구매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 측에 전했다. 국내 접종 속도가 느려지면서 공급이 수요를 웃돌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환불 절차 등에 대한 협의가 남은 가운데 이미 한국 몫으로 할당된 물량을 해외에 공여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출입기자단에 “현재 도입분 이외의 코백스 백신은 더 이상 국내 사용을 위해 공급받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2020년 말 코백스 측으로부터 총 2000만회분을 공급받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지난해까지 실제 공급된 물량은 251만6000회분에 그쳤다.
1748만회분가량의 백신을 정부가 포기한 배경엔 최근 잦아든 접종 속도가 첫손에 꼽힌다. 감염을 통한 자연면역자가 급증하고 적극적 접종 유인책이 사라지면서 3·4차 접종은 1·2차 접종 때보다 현저히 더디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0시 기준 전 국민의 64.1%가 3차 접종을 마쳤다. 2차 접종률 대비 22.6%포인트 낮은 수치다.
추후 수요도 불투명하다. 겨울철에 대비해 연내 최소 한 차례의 접종이 더 필요할 것이란 시각이 중론이지만, 그 대상이 얼마나 될지는 미지수다. 감염취약시설 등에 국한해 시행하고 있는 4차 접종을 60대 이상 전반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정도다.
현장에선 일부지만 이미 초과공급이 발생하고 있다. 앞서 정부가 지난 2월부터 요양병원·시설 등지에 공급한 4차 접종용 백신 21만3000회분이 유효기간 도과를 이유로 폐기됐고, 올해 초부터 지난달 22일까지 총 64만1368회분의 백신이 버려졌다.
정부는 이번에 받지 않기로 한 코백스 1748만회분뿐 아니라 제약사와 개별 계약을 맺어 올해 들여오기로 했던 1억2594만회분에 대해서도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방역 당국은 “이미 할당된 물량의 공여 등을 포함해 구매 예정 물량의 처리, 구체적 환불 금액과 절차 등을 코백스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