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경증~중등증 확진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와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이 차례로 줄어든다. 재택치료가 대폭 확대된 데다가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의 입원율이 당초 예상보다 낮아 지금처럼 많은 여력을 확보해둘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서다. 법정 감염병 등급 하향도 더불어 고려하고 있는 정부는 다음 주 중 ‘포스트 오미크론’ 체계를 발표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8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의료 자원이 적절히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방역·의료 체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사회적 부담은 줄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등증 환자를 위한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의 가동률은 이날 0시 기준 35%로 파악됐다. 주거환경 등의 여건 탓에 재택치료를 하기 어려운 경증 확진자들이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그보다도 현저히 낮아 18.4%에 그쳤다.
이에 정부는 오는 18일부터 감염병전담병원의 중등증 환자 병상 7000여개를 지정 해제해 일반 격리병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는 현재 확보해둔 전체 중등증 병상 2만4618개의 30% 수준이다. 일단 전환되면 이들 병상엔 코로나19 확진자가 아닌 일반 환자도 입원할 수 있다. 단 원활한 코로나19 진료를 위해 확진자가 입원할 시엔 한시적으로 건강보험 수가를 추가 지원한다.
생활치료센터 역시 단계적으로 줄여나간다. 주거취약자 등을 위한 필수 여력은 일단 남겨두고, 추후 일반의료체계로 전면 전환돼 확진자의 격리 의무 등이 사라지면 일괄적으로 폐소할 계획이다.
다만 중환자 병상은 감축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가동률이 높은 데다가 부족 시엔 인명 피해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0시 기준 중증환자 전담병상은 57.7%, 준중환자 병상은 63.8%의 가동률을 보였다.
보다 큰 틀의 대응 전환도 예고됐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 어느 정도 폭과 수위로 조정할지는 다음 주 중에 발표할 것”이라며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체계도 가급적 다음 주에 함께 발표할 수 있도록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표적 안건으론 법정 감염병 등급 하향이 꼽힌다. 2년 넘게 1급 감염병으로 분류돼왔으나 오미크론 우세종화 이후 낮아진 치명률 등을 고려할 때 홍역과 같은 2급 이하로 조정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총리는 “변화한 방역 상황에 맞춰 코로나19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늦지 않게 결론 내리겠다”고 말했다. 등급 하향이 현실화한다면 치료비 전액 국가 지원, 격리 의무 등이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행은 완만하지만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보다 20만5333명 늘어 누적 1498만3694명으로 집계됐다. 최근 유행의 크기를 고려할 때 9일 기준 누적 확진자는 1500만명을 여유 있게 넘길 전망이다.
사망자와 중환자는 그보다 더디게 줄고 있다. 이날 사망자는 373명 새로 보고됐다. 위중증 환자는 1093명으로 파악됐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