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사람의 폐에서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이 처음 확인됐다. 가장 흔하게 발견된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폴리프로필렌(PP)과 페트병(PET) 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가디언지는 6일(현지시간) 영국 헐요크 의대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종합환경과학’ 최근호에 게재한 논문을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연구진은 폐 수술을 받은 환자 13명에게서 조직 샘플을 채취해 0.003㎜ 단위까지 분석한 결과 11명의 환자 샘플에서 미세플라스틱 성분을 확인했다.
검출된 성분 중에서는 플라스틱 포장과 파이프 등에 많이 사용되는 PP 성분이 2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병에 사용되는 PET 성분(18%)이 검출됐다. 이러한 입자는 폐 상부나 중간보다는 하부에서 더 많이 나왔다.
살아있는 사람의 폐 조직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지난해 브라질의 한 연구에선 숨진 사람의 폐를 부검한 결과 20명 중 13명에게서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된 바 있다.
논문 저자인 헐요크 의대 로라 새도프스키는 “폐 하부 기도가 작아서 (미세플라스틱이) 걸러질 거라고 생각했지만, 예상외로 폐 하부 깊숙이 입자가 박혀있었다”라고 말했다. 특히 폐는 호흡기라는 점에서 미세플라스틱 성분이 뇌나 심장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세플라스틱은 5㎜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가리킨다. 수백 년간 썩지 않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땅과 바다에 남아 돌아다니면서 끊임없이 마모되고 조각나면서 발생한다. 이 같은 미세플라스틱은 물을 통해 물고기와 식물 등에 들어가고 공기 속 입자로도 떠다닌다. 자연히 인간의 몸속도 파고들고 있다. 임산부 태반에서 입자가 발견된 것은 물론이고, 임신한 쥐의 경우 폐를 거쳐 심장·뇌나 태아의 다른 기관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인이 연간 수만~수십만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자연스레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 등도 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 연구팀은 지난달 ‘국제환경저널’에 바표한 논문에서는 건강한 네덜란드 성인 22명 중 17명의 혈액에서 측정 가능한 수준의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됐다는 분석도 나왔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