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7일 주한미군 평택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가 매우 엄중한 상황 속에서 한·미 군사동맹과 연합방위태세를 통한 강력한 억제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서울 용산 한·미 연합사령부를 방문한 적이 있었으나 대통령 당선인이 캠프 험프리스를 찾은 것은 처음이다.
한·미 군사동맹 강화를 중시하는 윤 당선인의 안보정책 기조가 반영된 일정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윤 당선인은 이날 캠프 험프리스에서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 김승겸 한·미연합사 부사령관과 함께 브리핑을 받았다.
윤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대통령 당선인으로서 처음 방문한 부대가 한·미 군사동맹의 심장부인 캠프 험프리스”라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이어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은 수많은 선배 전우들의 헌신과 희생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한·미 장병들을 격려했다.
캠프 험프리스는 유엔군사령부·주한미군사령부·특수전사령부·미8군·제2보병사단 사령부가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 핵심 기지다. 용산에 있는 한·미연합사 본부도 연내 이곳으로 이전해 올 예정이다.
특히 전투부대와 첨단무기가 배치된 주한미군 기지를 방문한 것은 역대 대통령 당선인 중 윤 당선인이 처음이기도 하다.
윤 당선인은 방명록에 ‘평택은 튼튼한 한미동맹의 상징입니다’라고 적었다.
러캐머라 사령관은 “한반도 안정을 위해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생각한다”며 한·미 간 ‘철통 동맹(Iron-clad alliance)’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윌라드 벌러슨 미8군사령관, 소프지 기획관리참모부장 등과 함께 ‘정전협정의 방’을 관람하고 환담을 나눴다. 이어 장병식당에서 제2보병사단 소속 한·미 장병들과 식사를 함께 했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윤 당선인은 문재인정부 5년간 허물어진 한·미 군사동맹을 정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이 한·미 군사동맹 강화를 재차 강조하고 나선 것은 최근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북한의 무력 도발에 대한 대응 목적도 있다.
북한은 지난달 2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ICBM 시험 발사를 단행했다. 2017년 11월 이후 4년 4개월 만이다. 오는 15일 ‘김일성 생일 110주년’을 전후해 추가도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윤 당선인 측은 한·미정책협의단을 미국에 파견해 윤 당선인의 친서를 지난 5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측에 전달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