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에 따른 국방부 청사 이전 작업이 8일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방부는 7일 이삿짐 정리와 문서 파쇄 등 이전 준비로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부승찬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향후 이전 일정에 대해 “오늘 이사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 내일(8일)부터 이사 차량이 들어와 국방부 지휘부서와 합동참모본부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이사를 진행한다”며 “지휘 부서와 합참은 한·미 연합훈련이 종료되는 28일 후에 이전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청사 1층은 이날 오전부터 소속 직원들이 문서, 집기 등이 담긴 마대 자루를 수레로 실어 나르는 등 복작거리는 모습이었다. 청사 1층 입구엔 가득 채운 마대를 파쇄업체 차량으로 옮기는 수레 행렬이 이어졌다.
각 사무실에선 근무에 필요한 책상·의자는 유지하되, 당장 쓰지 않는 짐은 정리하는 모습이었다. 일부 부서는 가구와 집기류를 복도에 내놓기도 했다.
한 국방부 직원은 “꼭 야전 부대에 온 기분”이라며 “마음의 준비는 했지만, 실제로 이삿짐을 싸다 보니 정신이 없다”고 말했다.
부서 특성상 기밀문서가 많은 까닭에 보안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신중하게 사전 준비를 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불필요한 문서나 책자 등은 일차적으로 파쇄하고, 사무실 가구 같은 큰 짐들은 이사업체를 통해 빼낼 예정”이라며 “보안문서의 경우 국방부가 자체 계획을 세워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등 다른 이삿짐과는 별도로 옮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발주와 경쟁 입찰이 아닌, 수의계약 방식으로 이사 전문 업체와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법률상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문제가 없어 보인다는 일차적인 검토가 있었다”며 “좀 더 살펴볼 부분이 있겠지만, 절차상 위배되는 부분은 없었다”고 말했다.
정부가 6일 임시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대통령실 및 국방부 이전 관련 예비비는 약 360억원이다. 이 가운데 국방부 청사 내 사무실 등의 이전 비용은 이사비 30억원, 정보통신 구축비 55억원, 시설보수비 33억원 등 모두 118억원이다.
국방부는 국방 예산 전용 우려에 따라 기존 국방 예산은 쓰지 않고 새로 편성된 예비비만으로 이전을 마칠 계획이다. 건물 보수 및 리모델링 등 추가 예산이 필요한 부분은 새 정부 출범 이후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