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로펌 재직 시절 ‘고액 보수’ 논란에 이어 부동산 관련 의혹까지 휩싸여 인사청문회 난항이 예상된다.
한 후보자는 6일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에 마련된 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3월 말부터 약 1년간 에쓰오일 사외이사로 재직하면서 약 8200만원의 급여를 받은 것과 관련해 “별로 얘기할 게 없다. 청문회에서 만약 질문이 있으면 다 답변드리겠다”고 말했다.
한 후보자는 1989년부터 보유 중인 종로구 3층짜리 단독주택과 관련된 의혹도 불거졌다. 그는 장인으로부터 3억8000만원가량에 이 집을 사들인 뒤 지난해 시세보다 높은 100억원가량에 매물로 내놓았다고 서울신문이 보도했다.
이와 함께 JTBC는 한 후보자가 통상산업분야 고위직으로 근무할 당시인 1993년 이 집을 거액의 선금을 받고 미국 석유회사 한국법인에 장기간 월세를 줬고, 1995년에는 같은 회사가 채권최고액 약 1억6000만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다며 이해충돌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 한겨레는 한 후보자가 이 집을 세계 최대 통신업체인 AT&T에 임대했다는 보도를 했다.
이에 한 후보자는 인사청문준비단을 통해 “(해당 주택은) 1989년 구입한 뒤 임대하다가 1999년부터 실거주 중이며, 임대차 계약은 부동산 중개업소의 중개에 따라 월세 선지급 방식으로 계약했다”며 “계약 전 과정을 중개업소에 일임하고 세금을 투명하게 납부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청문회 검증에 성실히 임해 국민의 의혹이 없도록 설명하도록 하겠다”며 “부동산 투기 등 부적절한 부동산 거래를 한 사실이 없으며, 이를 과거 청문회를 통해 밝힌 바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 후보자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내세운 ‘책임총리제’에 대해 “청와대의 힘을 내각에 분권화, 위임하는 차원”이라며 “조직의 책임자들이 자기의 철학과 어젠다를 집행하는 데 가장 효율적으로 예산과 인사에 대해서 자율권을 갖도록 (권한을) 늘려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선인이 ‘청와대의 기능을 조금 줄이는 대신에 내각이 권한을 위임받고 동시에 책임을 확실하게 가지고 어젠다를 추진해 달라’는 말씀을 여러 번 하셨다”고 덧붙였다.
윤 당선인은 앞서 국무총리와 각 부처 장관에게 인사권을 비롯한 독립성을 폭넓게 보장하는 책임내각을 구현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또 책임총리 구현의 의지 차원에서 한 후보자를 지명하기 전 전체 장관 인선안을 건네 미리 검토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후보자는 그러나 내각 인선에 대한 질문에 “제가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대통령(당선인)께서 다 잘 듣고 같이 협의하고 토론해서 가장 좋은 사람을 뽑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