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매체 “코로나 감염원 지목된 한국산 의류 수입 감소”

입력 2022-04-06 18:01
코로나19 감염자가 나와 폐쇄된 중국 베이징의 소호 건물 앞에 6일 경비 요원이 서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의 일부 지방 정부와 관영 매체가 한국산 수입 의류를 코로나19 감염원으로 지목한 이후 중국 내 수입 업자와 온라인 쇼핑몰이 한국 상품 주문을 안 받거나 방역을 한층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티몰에서 한국 의류를 판매하는 한 업체 관계자는 6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잠재적인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제품이 도착하면 소독 작업을 하고 고객에게 발송하기 전 한번 더 소독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둥성 선전에서 한국산 제품을 취급하는 무역업자도 “현재 한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상품은 통관 후 항구 창고에서 적어도 열흘 동안 보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보관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가 비용은 모두 구매자가 부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복잡한 방역 절차와 추가 비용, 감염 위험 때문에 한국산 제품 주문이 평소에 비해 절반가량 줄었다고 설명했다.

물류 업체 관계자들은 통상 1주일 정도 걸렸던 통관 절차가 최소 2주로 늘었다며 앞으로 중국 당국의 방역 지침에 따라 그 기간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아예 한국산 의류 주문 접수를 중단한 업체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중 한국 대사관에 따르면 베이징시는 지난달 23일 모든 수입 물품에 대한 방역 강화 조치를 예고하고 지난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수출국이 어디인지에 관계 없이 일괄 적용되는 조치다. 그런데도 글로벌타임스 등 일부 매체와 지방 정부는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 원인을 한국산 수입 제품과 관련 짓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저장성 사오싱시는 지난달 초 홈페이지에 “코로나19 확진자 1명이 외국 의류를 통해 감염됐다”며 “한국산 의류는 소독 하기 전 판매대에 내놓지 말라”는 공지를 올렸다가 삭제했다. 이후 랴오닝성 다롄시, 장쑤성 창수시도 코로나19 감염자가 판매하거나 보관 중이던 한국산 의류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발표가 잇따르자 중국 포털 바이두에선 한때 ‘코로나 감염자와 한국 수입 의류의 관련 가능성’이란 글이 검색어 상위에 오르기도 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