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감염 우려 없다”지만…여전히 불안한 장례업계

입력 2022-04-06 00:06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망자 증가로 화장시설이 포화 상태로 이르러 서울시가 임시 안치공간 운영 및 화장시설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뉴시스

정부가 코로나19 사망자 장례와 관련, 일반 시신과 같이 매장과 염습을 허용하면서 장례업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시신을 통한 감염은 없다고 거듭 밝혔지만 장례없계는 안전이 담보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5일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사망자 시신과의 직접 접촉을 통한 전파 가능성에 대해 “시신과의 접촉 시 일반적인 주의와 후속 절차를 잘 지키면 감염 우려는 거의 없다”고 발표했다.

이 단장은 “코로나19는 감염자의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 감염된다”며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시신을 통해서 감염된 사례 또는 그런 증거는 없다는 것이 WHO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질병통제센터도 그간 코로나19 사망자에 적용하던 감염병 예방수칙을 포함한 별도의 장례 지침을 올해 2월부터는 더 이상 홈페이지에 게재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한국장례협회는 정부의 이 같은 공언에도 코로나 전파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박일도 한국장례협회 회장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 같은 상황에서 어떻게 안전을 장담할 수 있느냐”고 토로했다.

박 회장은 “하물며 승강기에도 방역 필름을 붙이는데, 시신을 씻기는데 어떻게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없다고 하는지 알 수 없다”며 “안전이 담보될 방법을 찾으면 우리도 당연히 (염습을) 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월 ‘선(先) 화장 후(後) 장례’ 권고 지침이 폐지된 이후 코로나19로 사망한 이들의 시신은 나일론 시신백에 넣어 밀봉됐다. 유가족은 시신백의 투명한 부분만 일부 열어 고인의 얼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수의는 시신백 위에 올려놓은 상태로 입관식이 진행됐다. 이는 시신에서 나오는 체액이나 분비물 누출을 막고, 장례지도사들의 코로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지난 1일 발표한 코로나19 사망자 장사 방법 및 장례비 지원 개선 방안에 따르면 코로나19 사망자도 일반 장례 절차에 따라 화장, 매장, 염습 등이 모두 가능해졌다.

이에 장례업계는 코로나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시신백에서 시신을 꺼내고 닦는 ‘염습’ 과정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전국에서 100곳 이상의 장례식장이 한국장례협회에 코로나 시신 ‘보이콧’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방침 변경으로 코로나에 대한 위험을 장례업자들에게 전가하고, 정부는 코로나 사망자 1명당 장례지원비 1000만원을 아끼게 된 것 아니냐는 볼멘 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정부가 장례 방법을 바꾸기로 결정하면서 장례협회와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 박 회장은 “지난 1월엔 장례협회와 질병청이 그전 3개월간 회의를 거쳐 방법을 찾아왔는데, 이번에는 일방적으로 아무 협의도 없이 밀어붙인다”며 정부의 소통 방식을 꼬집었다. 장례업계와 정부는 오는 7일 간담회를 열어 해결책 모색에 나설 방안이다.

서민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