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구상이 5일 첫발을 뗐다.
집무실 이전에 소요되는 예비비 규모를 놓고 갈등을 빚던 청와대와 윤 당선인 측은 이날 360억원 규모의 예비비를 6일 임시 국무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360억원은 앞서 윤 당선인 측이 집무실 이전 비용으로 추산했던 496억원보다 136억원 모자란 금액이다.
양측이 극적 합의를 이룬 데에는 지난 4일 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의 통화가 배경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용산 대통령 집무실을 가로막고 있던 예산 문제가 일부 해소되면서 집무실 이전 움직임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수석이 4일 저녁 전화를 해서 ‘실무 절차가 완비되면 처음에 약 300억원대 예비비를 임시 국무회의라도 열어 (처리하고) 불편함 없이 협조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장 실장은 “496억은 처음에 나온 것이고 그 안에서 구체적으로 들어가 금액이 다시 만들어지는 것”이라며 “이 수석이 ‘나머지 금액도 빠른 시간 내에 협조하겠다’고 말했다”면서 “청와대와 윤 당선인 간 (예비비 협상이) 아주 좋은 모습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 측은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집무실 이전 준비가 계속 늦어지는 것에 대한 고민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내부에서도 신구 권력 갈등 장기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결국 윤 당선인 측이 청와대의 안보 공백 우려를 반영해 360억원대 예비비 집행에 동의하고, 청와대가 향후 추가 논의를 통해 나머지 비용을 처리해 주는 방식으로 합의가 이뤄졌다.
이번에 집행되는 예비비에는 국방부와 합참 이전 비용도 반영됐다. 다만 양측은 이번 달로 예정된 한·미 연합군사훈련 관련 국방부와 합참 부서들은 연합훈련을 마친 후 이전하기로 뜻을 모았다.
윤 당선인이 향후 대통령 관저로 사용할 육군참모총장 한남동 공관 리모델링 비용과 대통령 경호처 이전 비용 등은 6일 확정될 360억원 안에 포함됐다. 그러나 기존 국방부 건물에 설치될 대통령 비서실 인테리어 비용 등은 제외됐다.
윤 당선인 측은 예비비가 집행되는 대로 집무실 이전을 위한 실무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전 작업에 시간이 걸리면서 윤 당선인이 대통령 취임일인 5월 10일에 맞춰 용산 집무실에서 직무를 시작하는 것은 힘들 전망이다. 이에 따라 윤 당선인은 취임 이후 일정 기간 서울 통의동 집무실을 그대로 쓸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관련 정부 검토 결과를 보고받고 “최대한 빨리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예비비를 조속히 처리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6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360억원의 예비비 사용을 심의·의결할 계획이다.
박세환 강보현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