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에 설계수명이 다하는 고리 2호기 가동을 연장하기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탈원전 정책에 따라 수명이 다한 원자력 발전소는 폐쇄한다는 기조를 뒤집은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취임 전부터 ‘탈원전 지우기’ ‘원전 부활’이 시작된 것이다.
5일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따르면 정부와 한수원은 8일까지 고리 2호기에 대한 주기적안전성평가(PSR)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PSR은 원전의 안전성을 10년 주기로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개선사항을 찾아내는 평가다. 설계수명이 임박한 원전을 다시 가동하려면 경제성 평가와 방사선 환경영향평가 등과 함께 PSR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원안위에 제출해야 한다. 원안위와 원자력안전기술원 등은 이 평가 결과들을 토대로 원전 계속 가동을 위한 운영변경허가여부를 최종 심사한다.
고리 2호기는 내년 4월 8일 설계수명 종료를 앞두고 있었다. 원안위 심사 기간이 길어져 만약 내년 4월까지 결론이 나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가동 중지에 들어가야 할 수도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지난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고리2호기에 대한 경제성 평가와 안전성 평가 보고서를 빠른 시일 내에 원안위에 제출하겠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향후 고리2호기뿐 아니라 2024년과 2025년 설계수명이 종료되는 고리3·4호기 등에 대해서도 계속 가동 절차를 추진할 것이라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원전 신규건설은 지역 주민 설득 등 변수가 많기 때문에 노후 원전의 가동을 연장하는 방식 외에 선택지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