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5일 “우리나라는 어느 나라보다도 상대적으로 감염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잘 보호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국제사회에서도 한국이 코로나를 풍토병 수준으로 낮추는 선도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하며 우리의 일상회복 전략에 주목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으로 이행되는 첫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취지로 보도한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오미크론이 정점을 지나고 감소세가 3주째 이어지며 일상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오미크론이 크게 확산하는 기간에도 줄곧 안정적인 의료체계를 유지하며 위중증과 치명률을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1차적으로는 방역과 백신접종에 적극 참여하고 협력해준 국민 여러분 덕분이고 선진적 K방역과 우수한 보건의료역량이 효과적으로 뒷받침한 결과”라며 “정부는 고위험군 관리에 집중하면서 방역과 의료체계를 일상적인 대응체계로 개편하는 등 일상회복을 질서 있게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한국은 최근 4주 연속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았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K방역 실패론도 거론되지만 정부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치명률이 낮다는 점을 강조하며 적극 반박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조류인플루엔자와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가축전염병 대응에도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감염병 멧돼지가 남하하는 등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관계부처는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늦추지 말고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또 “정부는 더욱 비상한 각오로 생활물가 안정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정부는 유류세 인하 폭 확대, 화물차 유가보조금 지급, 할당관세 적용품목 확대 등 물가안정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 각 부처는 후속 조치를 조속히 시행하고 물가상승으로 어려움이 가중될 서민과 취약계층 지원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