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은 새 정부의 최우선 협력 국가로 미국을 꼽았다. 또 한·일관계 개선, 단계적 쿼드 가입, 중국에 당당한 입장 표명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6.8%은 새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협력해야 하는 국가로 미국을 선택했다고 4일 밝혔다. 다음으로는 북한 5.0%, 중국 3.2%, EU 2.1%, 일본 1.4% 순이었다.
국민들은 한국이 경제, 외교‧안보 분야에서 북한‧중국‧러시아보다 미국‧일본과 긴밀한 협력을 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경제 분야에서 미국‧일본과 긴밀한 협력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68%이었고, 철저한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27.7%, 북한‧중국‧러시아와 긴밀한 협력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4.3%였다.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미국‧일본과 긴밀한 협력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69.5%이었고, 철저한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24.4%, 북한‧중국‧러시아와 긴밀한 협력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6.1%였다.
국민의 74.9%는 한국과 일본 정부가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양국 관계 개선에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징용공 배상 문제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일본의 사과를 받고 한국과 일본 기업이 공동 조성한 기금으로 배상하는 방안(50.4%)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국민 77.1%은 새로 출범하는 정부가 미국, 일본 등 쿼드 국가에 외교 우선순위를 두려는 정책방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쿼드 가입 추진에 대해서는 현행 백신 분야 워킹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수준에서 기후변화, 신기술 워킹그룹 등으로 참여를 확대하는 등 단계적으로 가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69.0%)이 가장 많았다.
한편, 중국과 관련해서는 한·중관계에 단기적인 어려움을 겪더라도 한국 정부가 주요 갈등 현안에 대해 당당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는 의견이 84.9%였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새로 출범하는 정부는 미국과 중국과의 적절한 외교 관계 설정, 한일관계 개선, 단계적 쿼드 가입 추진 등 국민의 의견을 수렴해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제, 외교‧안보 전략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