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오는 5일 열리는 국무회의에 윤석열 당선인의 ‘용산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승인 안건이 포함돼 있지 않다고 4일 밝혔다.
박 수석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전화 인터뷰에서 “현재로는 내일 국무회의에 상정될 안건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 (실무협의) 상황에 따라 내일 국무회의에 상정될 수도 있고 만약 내일 안 된다면 주중에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서 할 수도 있다”며 “중요한 것은 오늘의 상황이 어떻게 되느냐일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는 앞서 청와대와 윤 당선인 측의 실무협의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집무실을 이전하는 계획을 위해 예비비 300억원 집행키로 합의했고, 이르면 5일 예정된 국무회의에 올릴 수 있다는 보도가 사실인지 묻는 진행자 질문에 따른 것이었다.
박 수석은 실무 협의에서 합의가 이뤄졌는지 여부에는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확인되지 않는 내용”이라며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윤 당선인과의 만찬에서 “정확한 이전 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고 밝히면서 갈등 사태를 봉합했다.
인수위 측에서는 당초 추산한 496억원의 예비비 가운데 청와대가 내세운 ‘안보 공백 우려 해소’라는 조건을 수용해 국방부·합참 건물 이전 118억원을 제외한 300억원 내외의 예비비 지출 승인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값 논란’에는 “아무리 영부인이라지만 사적인 영역이 있는 것인데 어떻게 사비 내역을 발표하라고까지 무리한 요구를 하느냐”며 “5만원권 현금 뭉치라고 (보도)하는데 이 문제는 지급방식이 아니라 사비로 지출했다는 것”이라고 재차 반박했다.
그는 “명인이나 디자이너 등의 작품에는 예우 차원에서 현금으로 계산하기도 한다”며 “봉투에 담아서 정중하게 드리는 것이 개인적으로 맞다는 생각인데 국민께서 어떤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월평균 생활비가 많다는 지적에는 “공직자 재산 공개 시 생활비가 평균 2000만원 이상 된 것 아니냐”며 “생활비가 너무 많은 것 아니냐 말하는데 역설적으로 보면 대통령이 특활비를 적게 쓰고 사비로 그만큼 쓴다는 것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이어 “대통령이 아니었다면 굳이 지출하지 않아도 되는 돈들이 굉장히 많다”며 “관저에서 생활해보면 특활비를 줄이고 안 쓰고 그러면서 사비로 쓴 부분들에 적어도 칭찬까지는 모르지만, 이해를 해줘야 할 문제가 아닌가 한다”고 반박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