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이번 지방선거 후보자 공천 과정에서 ‘인공지능(AI) 면접’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도입한 ‘공천 기초자격평가 시험(PPAT)’에 대응하기 위한 성격이다.
또 청년·여성 등 정치 신인 발굴을 위해 지방선거 광역·기초의원 후보의 30%를 청년과 여성에 의무공천하는 규정도 정했다.
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은 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AI 면접 도입안, 청년·여성 의무공천 비율 확대안 등을 논의했다.
기획단 위원인 신현영 의원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지방자치단체장 후보자 공천에는 국민의힘의 PPAT 자격시험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혁신 공천 경선에 AI 면접을 도입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빅데이터 추출을 통해 지역 현안 과제 관련 질문을 선정한 후 지자체장 후보자들에게 이를 질문하는 방식”이라며 “후보자들이 얼마나 지역 현안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역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면접 평가가 PPAT 시험보다 훨씬 더 실질적으로 지역주민에게 도움이 되는 인물을 선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한국 정당 최초로 이번 지방선거 광역·기초의원 후보 공천에 자격평가 시험 PPAT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이 대표가 지난해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서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내용이다.
여성 의무공천 비율을 30%로 확대하는 것과 관련해 신 의원은 “우선 30% 의무 공천을 기준으로 하고 잘 지키는 지역위원장에 대해 당무감사에서 평가하고 반영할 수 있게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규칙을 지키기 어려운 농촌 등 일부 지역에 대해선 정말 지킬 수 없는 예외 사항인지를 지역 공관위에서 의결하는 규정을 두면 대부분 지키려 노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기획단은 또 동일지역에 3선 이상 당선된 다선 지방의원의 경우 당선권인 ‘가’번 배정을 제한하고, 청년에게 우선적으로 기회를 주는 방안도 검토했다.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4일 회의를 열고 이날 기획단이 논의한 방침을 최종적으로 의결할 예정이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