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3명, 첫 일자리 비정규직”…월급 평균 213만원

입력 2022-04-03 08:11 수정 2022-04-03 10:28

전국 만 18~34세 청년 10명 중 3명 이상은 첫 일자리를 비정규직으로 시작하며, 첫 직장 평균 월수입은 213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년 사회 첫출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I: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들의 졸업 후 첫 일자리 평균 근속기간은 33.3개월로 나타났다. 근속기간은 3년 미만이 63.9%로 가장 많았다.

‘졸업 후 첫 일자리’는 ‘최종 학교 졸업 후 처음으로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을 했거나 가족사업체에서 무급으로 18시간 이상 일을 했던 경우’나 졸업 전에 시작했더라도 졸업 후 일자리가 계속 이어진 경우로 정의했다.

졸업 후 첫 일자리에서의 지위를 보면 응답자의 94.5%가 임금근로자, 5.5%가 비임금근로자로 나타났다.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정규직은 66.6%, 비정규직은 33.4%였다.

취업한 회사의 종사자 규모를 보면 63.9%의 청년들이 3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체에서 첫 일자리를 시작했다. 1∼4인 규모의 직장에서 첫 일자리를 시작한 비율도 26.3%로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첫 일자리의 종사자 규모가 500인 이상인 경우는 7.7%에 그쳤다.

졸업 후 첫 일자리의 평균 주당 근로시간은 41시간, 월 소득은 평균 213만원으로 집계됐는데 성별과 학력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대졸 이상 남성의 평균 근로시간은 42시간으로 여성(40시간)보다 2시간가량 많게 나타났고, 월 소득도 남성(231만원)이 여성(194만원)보다 37만원 많았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의 청년은 평균 44시간 근무에 203만원의 급여를 받았지만, 대졸 이상의 청년은 42시간 근무에 236만원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이하 청년이 대졸보다 더 긴 시간 일하고 더 적은 급여를 받는 셈이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7∼10월 전국 만 18∼34세 청년 204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들은 성인으로서의 첫출발을 상징하는 것으로 ‘첫 일자리를 갖는 것’(35.4%)을 꼽았다.

이어 ‘부모와 타인으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는 것’(25.2%) ‘성인으로서의 권리를 갖게 되는 것’(15.5%) ‘학교를 졸업하는 것’(11.1%) ‘결혼하는 것’(7.4%) ‘부모(보호자)와 함께 살지 않는 것’(4.0%) ‘자녀를 출산하는 것’(0.8%) 등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첫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좋아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2.8%, 싫어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15.9%였다.

연구진은 24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한 결과, 고교 졸업 예정자나 졸업자들은 취업 준비 과정에서 학교에서 이뤄지는 진로나 취업상담을 대부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또 실업계고 현장실습은 현장실습생 사망사고로 위축되거나 코로나19로 인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학교 졸업 후 첫 취업까지 평균적으로 11개월이 걸리는데, 이는 개인적으로 불안정하고 고통스러운 시기이자 국가적으로도 인적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는 것”이라며 “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취업이 결정되는 예방적 접근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