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위한 예비비 일부가 이르면 5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지난달 28일 만찬 회동 이후 ‘이철희-장제원’ 라인이 협상을 통해 의견 차이를 좁힌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윤 당선인이 요구한 496억원 규모의 예비비 전부가 한꺼번에 의결될 가능성은 낮다. 청와대가 ‘안보 공백이 발생하면 안 된다’는 입장 하에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등의 일괄 이전에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결국 윤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 직후 용산 집무실에서 업무를 보기는 여전히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청와대와 윤 당선인 측 간 집무실 이전 협상에 많은 진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르면 5일 국무회의에서 예비비 승인 안건이 의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5일 국무회의 안건 상정이 불발된다 해도 오는 7~8일 정도에는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 임시 국무회의에서 예비비 안건이 상정될 것이라는 게 청와대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설명이다.
다만 이번에 처리되는 예비비에는 윤 당선인 측이 제시한 전체 예산 가운데 일부 금액만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윤 당선인 측은 국방부의 합참 건물 이전 118억원, 국방부 청사 리모델링 252억원, 경호처 이사 비용 99억9700만원, 한남동 공관 리모델링 25억원 등 496억원 가량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치권에서는 이 가운데 다음주 처리되는 예비비는 100억원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공관 리모델링 비용이나 한·미연합훈련에 참여하지 않는 부서의 이전 비용이 먼저 처리될 가능성이 크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번 주말 릴레이 협상을 통해 예비비의 단계적 의결 방안을 확정 지을 것으로 보인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