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는 1일 “가계부채 문제는 단기간에 위험 요인은 아니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면 우리나라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총재가 되면 가계대출 문제를 금융위원회와 함께 다시 보겠다”고 말했다. 가계대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장기적 관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 후보자는 1일 서울 중구에 있는 국회청문회 준비 태스크포스(TF) 사무실로 출근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가계대출 문제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이 후보자는 “(가계대출 문제는) 성장률 둔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고, 앞으로 고령화에 따라 나이 많은 분들이 은퇴 후 생활자금을 위해 가계대출을 받기 시작하면 가계대출의 퀄리티(질)도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정할 가능성에 대해선 “경기 하방 리스크(위험)가 실현됐을 때 물가에 더 영향을 줄지, 성장에 더 영향을 줄지는 분석을 해봐야 한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금통위원들과 함께 현실화된 변수가 성장과 물가, 어느 쪽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서 방향을 마련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의 통화정책 성향을 묻는 질문에는 “최근 중앙은행들의 정책도 큰 틀에서 물가, 성장, 금융안정, 거시경제를 종합적으로 보고 정부 정책과의 일치성, 일관성도 고려해 서로 협조하는 가운데 물가(목표)를 어떻게 달성할까 이런 틀로 많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또 “매파(통화긴축 선호),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이렇게 나누는 것은 좀 적절하지 않다. 데이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따라 어떻게 정책조합을 잘 이루고 정부와의 조율을 잘하는지 등의 각도로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저는 아마 데이터가 변함에 따라 어떤 때는 매파가 되고, 어떤 때는 비둘기파가 될 것 같다”고 답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