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오는 3일 제74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다. 이는 보수 정당의 대통령이나 대통령 당선인으로서는 윤 당선인이 처음이다. 역대 대통령 당선인 중에서도 첫 사례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일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 브리핑에서 “지난 2월 5일 윤 당선인이 제주를 방문했을 때 당선인 신분이 되면 다시 오겠다고 말씀했고, 그 국민과 한 약속을 지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윤 당선인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양민이 무고하게 희생된 데 대해 모든 국민이 넋을 기리고 따뜻하게 위로하는 게 의무이자 도리라 강조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윤 당선인은 대선후보 시절인 지난 2월 5일 제주 4·3 평화공원을 방문해 “제가 차기 정부를 맡게 되면 희생자 유족들에게 합당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위패봉안실 방명록에는 ‘무고한 희생자의 넋 국민과 함께 따뜻하게 보듬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윤 당선인은 당시 4·3 추모 동참에 대해 “인권과 자유 민주주의 정신에 따라 평화와 국민 통합을 이루는 길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제주 해군기지가 있는 강정마을을 방문해 “이곳을 정쟁이 아닌 통합과 평화의 상징으로 바꾸겠다”며 국민 통합 메시지를 전했다.
현직 대통령으로서 4·3추념식에 참석한 건 2003년 조성된 4·3평화공원에서 첫 위령제가 열린 이래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처음이었다. 이후 10년 동안 보수 정당이 집권한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는 대통령의 4·3추념식 참석이 전무했다. 박근혜 정부 당시에는 4·3추념식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지만 박 전 대통령은 불참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2020년, 2021년 세 차례 참석했다. 올해 추념식에는 문 대통령을 대신해 김부겸 국무총리가 참석할 예정이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