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여사 논란 맞불?… “尹, 총장 때 147억 내역 공개하라” 청원

입력 2022-04-01 05:25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월 28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대화한 뒤 함께 만찬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검찰총장 시절 특수활동비 내역을 공개하라는 국민 청원이 올라왔다. 정치권 일각과 일부 언론에서 청와대 특활비가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값에 쓰인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자 맞불 성격으로 제기된 주장이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지난 31일 ‘윤석열 총장 당시 검찰 특활비 147억 공개 청원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제기됐다.

청원인은 “윤 당선인은 정의와 법치 이름으로 내세워 당선됐음에도, 총장 시절 집행한 국민세금 140억원의 근거를 대라는 법원의 판결을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그러면서 “국민세금을 140억 쓰고 현금처리 해서 증빙이 없다는 윤석열 당선자와 그 검찰의 해명에 동의하는 국민들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며 “사용처와 사용 내역에 대해서 국민이 납득할 수준으로 깨끗하게 공개해야 하며, 공개 거부 시 당선 취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당선인을 겨냥해 검찰총장 시절 특수활동비 147억원의 내역을 공개하라는 내용은 주로 친여 성향 인사들로부터 제기되는 주장이다. 김 여사 옷값 논란에 대한 역공으로 풀이된다.

친여 인사들 “윤 특활비 147억 수상” 역공
방송인 김어준씨는 지난 29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김정숙 여사 옷값 논란에 대해 “사비로 구입한 것을 무슨 근거로 공개하라고 하느냐”며 김 여사를 적극 옹호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도 검찰총장 시절 사용한 특활비(특수활동비) 147억원을 공개하지 않았다”며 “무려 147억인데, 이 특활비 타령은 여러모로 수상하다”고 맞불을 놨다.

그는 31일에도 “의혹을 제기하는 쪽이 증거를 대야 한다”며 “만약 내가 ‘윤석열 당선인이 검찰총장 시절 147억 원의 특활비로 아내 옷을 구매한 사례가 나오면 모든 옷을 반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언론은 (윤 당선인 아내) 김건희씨한테 달려가 특활비로 옷을 구매하지 않았다는 증거를 입증하라고 할 건가. 대신 내게 정황과 증거를 대라고 할 것 아닌가”라고 공세를 펼쳤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지난 3월 30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종정 중봉 성파 대종사 추대법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씨는 지난 29일 페이스북에서 김 여사 옷값 논란을 “마녀사냥”이라고 규정하고 “윤 당선인은 검찰총장 재직 당시 147억 원 특수활동비를 썼는데,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 그 자료조차 없다고 입을 씻고 있다. 특활비 사용처를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 출신의 김용민 평화나무 이사장은 지난 30일 페이스북에서 “(문재인 정부의) 특활비가 궁금한가? 검찰총장 시절 윤석열의 특활비부터 까자. 부인 의혹이 궁금한가? 주가조작, 경력 학력 조작 등의 의혹부터 까자”고 응수했다.

KBS라디오 ‘주진우 라이브’를 진행하고 있는 주진우 기자도 SNS에서 지난 29일 김 여사 논란을 두고 “옷 입은 것과 특활비가 무슨 상관이 있는지 도무지 모르겠다”며 “이번 기회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특활비를 전면 공개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의 특활비를 모두 공개하자. 공개되지 않은 윤석열 검찰의 특활비도 함께 말이다. 한 걸음 나아가 특활비를 아예 폐지하는 것도 좋은 생각”이라며 “인수위에서 고민해 달라. 당선인님”이라고 밝혔다.

민주, 대선 전 특활비 내역 요청… 국힘 “허위 네거티브”
국회에서도 윤 당선인의 총장 시절 특활비 내역 공개 요청이 있었다.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선 전인 지난 2월 7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윤 당선인의 총장 재임 당시 특수활동비 관련 자료를 공개하며 “특수활동비로 147억원을 현금으로 썼다는 계산이 있는데, 사용내역도 없고, 영수증도 미첨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민단체가 그 내역을 공개해 달라고 법원에 정보공개 청구를 했고, 시민단체가 거의 승소했는데, 윤 후보는 당시 검찰총장 업무추진비에 대해 항소를 하면서 공개를 회피하고 있는 상태”라고 압박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당시 “허위 네거티브”라고 맞섰다. 국민의힘 선대위는 입장문을 통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윤석열 당시 총장을 모해해 축출하기 위해 특활비 감찰을 지시하는 등 샅샅이 뒤지고 국회에서 검증한 사실이 있다”며 “어떠한 문제도 발견되지 않았음에도, 또다시 새로운 문제인 것처럼 꺼내 허위의 네거티브를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