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공직자 가운데 재산 공개대상자의 신고재산 평균액은 8억5900만원으로 종전 신고재산액보다 평균 7100만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구·군 의원과 공직유관단체장 등 공직자 재산공개대상자 총 185명 중 145명(78%)의 재산이 늘었고 나머지는 40명(22%)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부산시보를 통해 공개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재산공개대상자의 2021년 12월 31일 기준 재산명세 및 변동사항을 이날 시보에 공개했다. 현행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고위공직자, 시의원, 구청장, 군수의 재산변동사항은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공개하고, 부산시 공직유관단체장 및 구·군 의원의 재산 변동사항은 부산시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공개한다.
재산 순위를 보면 최고 재산 보유자는 지난해와 같이 한정옥 사하구의원이 104억9000여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김현미 남구의원 50억2700만원, 장강식 부산진구의회 의장이 45억1900만원, 박구슬 남구의원 41억9000만원, 고연희 연제구의원 41억원 순이었다.
이번 공개대상 중 재산증가 순위를 보면 장강식 부산진구의회 의장이 1년 사이 27억1000만원이 늘었다고 신고했다. 이전 년에도 9억원이 늘었던 박구슬 남구의회 의원은 올해 25억원이 늘었다고 신고해 재산증가 순위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성경미 기장군의원 8억2000만원, 한정옥 7억6000만원, 성현옥 부산진구의원 7억4000만원이 각각 늘었다.
이들의 재산 증가요인으로는 부동산 공시가격 상승, 급여저축 및 사업소득, 비상장주식 가액산정 방식 변동에 따른 증가 등이었다.
반면 재산이 큰 폭으로 줄어든 공직자는 김주홍 강서구의원으로 87억2000만원이 감소했다고 신고했다. 이어 김옥란 연제구의원 5억6000만원, 최봉환 금정구의회 의장 3억원, 김정욱 해운대구의원 3억원, 김기태 북구의원 2억80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재산 감소요인으로는 생활비 등 가계지출 증대를 비롯해 직계 존·비속의 고지거부 등 등록제외 등으로 파악된다.
이번에 공개한 공직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오는 6월 말까지 심사한다. 재산심사 결과 불성실 신고 사실을 발견하면 관련 규정에 따라 경중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 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할 예정이다.
◇ 시장·고위공직자·시의원·구청장·군수 재산도 이날 공개
시장·고위공직자·시의원·구청장·군수 등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심사대상 공직자의 재산변동사항을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이날 전자관보에 공개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해 대비 3억9200여만원 늘어난 46억8400여만원을 신고했다. 지난해 보궐선거 과정에 투기 의혹이 제기된 엘시티 아파트는 배우자 명의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신고됐다. 박 시장은 중과세 면제가 적용되는 다음 달 엘시티 매각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미 다른 곳으로 이사했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지난해보다 2억원가량 증가한 13억1400여만원을 신고했다.
신상해 부산시의회 의장은 올해 1억6900만원 늘어난 2억5700여만원을 신고했다.
시의원 가운데서는 김종한 의원이 103억7000여만원을 신고해 1위를 차지했다.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김 시의원은 지난해 94억4700만원보다 9억2300만원이 늘었다.
김광모 시의원과 최영아 시의원은 마이너스 4232만원, 마이너스 3128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부산 16개 구·군 단체장 가운데 최진봉 중구청장이 81억4200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정명희 북구청장이 47억원, 노기태 강서구청장이 43억원, 홍순헌 해운대구청장이 34억8800여만원, 정미영 금정구청장이 26억8100여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이규문 부산경찰청장과 이상규 부산소방재난본부장은 3억9000여만원과 4억9200여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