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주력 산불진화 헬기 초대형으로 전환한다

입력 2022-03-31 14:46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이 3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경북과 강원 대형산불 시사점을 분석하고 개선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최근 경북과 강원에서 역대 최대규모의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산림청이 주력 산불진화 헬기를 대형에서 초대형으로 전환하고 임도·내화수림대 등을 확대하기로 했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3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2년 경북·강원 대형산불 시사점 분석 및 개선대책’을 발표했다.

올해는 50년 만에 맞은 겨울 가뭄의 영향으로 지난 1월1일부터 전날까지 총 304건의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발생한 167건 대비 1.8배 늘어난 수치다.

특히 지난 4~5일 발생한 경북 울진·삼척, 강원 강릉·동해 및 영월 지역의 산불은 최대 풍속이 초속 26m에 달했던 탓에 대형산불로 확산됐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산림 2만1000㏊, 주택 322채와 농업시설 281동이 피해를 입었다.

산림청은 2차 피해예방을 위한 응급복구, 산림생태계 회복 목적의 항구복구로 나눠 피해지역의 복구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먼저 응급복구는 산사태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장마철인 6월이 오기 전까지 추진하기로 했다.

약 1118㏊ 규모인 생활권 주변지역은 긴급 나무 베기를 실시하고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복구조림을 실시한다.

산불로 피해를 입은 임업인들이 조기에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융자금 등을 신속히 지원한다.

4월에 강풍이 많이 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선제적 산불예방 조치도 시행한다.

감시 및 단속, 계도활동을 실시하는 한편 민가주변·산림연접지의 영농부산물과 폐기물 등을 집중 제거한다.

산림청 헬기는 조기 정비를 통해 가동률을 높이고 지자체 임차헬기 비용도 지원한다. 군·경찰 등에는 ‘밤비버킷’을 제공한다. 산간지역 및 보호구역 등에는 취수용 사방댐을 설치하고 이동식 저수조 설치지역도 사전 점검한다.

공중·특수진화대 등 정예 진화인력은 광역단위로 투입할 예정이다. 산불 장기화에 대비해 산림조합작업단·국유림영림단을 대체 및 교대인력으로 확보한다.

여기에 산불발생 초기 현장은 시장·군수가 직접 지휘하도록 하고, 3000㏊ 이상의 초대형 산불 발생 시 진화자원 동원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중장기 개선대책으로는 ‘초대형산불’ 개념을 도입하는 한편 현장대책본부장의 진화자원 동원 권한 등을 부여하는 대응 지침을 정비키로 했다. 또 정확한 상황판단을 위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산불진화자원 배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도 현장에 지원할 계획이다.

산림청의 주력 헬기는 대형에서 초대형으로 전환하며 지자체 임차헬기도 내년부터 중·대형으로 전환한다.

산불진화차는 2027년까지 대형·고성능으로 2500대를 교체하고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처우를 개선하는 한편 규모도 확대한다.

산불방지 기반시설은 산불예방 숲가꾸기, 내화수림대(연간 350㏊) 확대로 대응한다는 복안이다. 여기에 현재 157㎞인 산불진화 임도는 2030년까지 6357㎞로, 담수기능을 갖춘 물가두기 사방댐도 2027년까지 63곳을 설치한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산불진화에 많은 지원을 해 주신 중앙부처와 지방정부, 산불진화대와 지역주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5월까지 대형산불 위험이 계속될 것이기 때문에 경각심을 늦추지 않고 산불예방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