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새 정부 초대 국무총리 인선과 관련해 “4월 초쯤, 너무 기다리지 않게 발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놓고 총리 인선 발표가 주말인 오는 3일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31일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총리 후보군에 대한 질문에 “후보군이 압축됐다는 정도 밖에 말씀을 못 드린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진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대해서는 “확인해드리기 어렵다”면서 “대내외 위기 속에서 내각을 안정적으로 이끌고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잘 뒷받침하며 부처 간 유기적 협력을 이끌 분을 찾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총리 후보자 발표 방식과 관련해서는 “보통 당선인이 총리 후보자를 발표하는 게 비교적 많은 관례였던 것으로 안다”며 윤 당선인이 직접 발표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한편 지난 28일 문재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청와대 회동 때 논의된 사안 이행을 위해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간의 후속 접촉이 곧 이뤄질 전망이다.
김 대변인은 “조만간에 청와대에서 회동이나 어떤 후속 조치를 이행하기 위한 만남이나 접촉이 이행될 것으로 안다”면서 “이 정무수석과 장 비서실장의 접촉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들었다. 진행 상황이 생기는 대로 공유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집무실 용산 이전을 위한 현 정부의 예비비 지출 등에 대해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간에 최선을 다해 노력을 하고 있다”며 “안보에 있어 단 한 틈도 보이지 않도록, 물 샐 틈 없이 안보 역량에 있어서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두 분이 이전 문제와 관련해 원칙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여전히 이견이 있다는 분석과 관련해서는 “(집무실) 이주 기간도 이른 시간 안에 될 수 있도록 노력하지만, 특별히 서로가 경계선을 갖고 넘어오지 못할 울타리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부연했다.
김 대변인은 또 윤 당선인의 청와대 제2부속실 폐지 공약에 대한 질문에 “제2부속실 폐지는 윤 당선인 입장이자 공약”이라며 “폐지는 폐지다. 그 말씀 그대로 받아들여 달라”고 밝혔다.
대통령 특수활동비 집행 방침에 대해선 “답변을 준비해 드릴 수 있을 때 밝힐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