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 공직자 재산공개 대상자의 신고재산 평균이 16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상자의 80% 이상이 재산을 늘렸다. 주택·토지 등 부동산 가격과 주가지수 상승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31일 관할 재산공개대상자 1978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대상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 교육감 등이다.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소속 재산공개 대상자와 지방자치단체 기초의회의원 등은 각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별도로 공개한다.
대상자들의 신고재산 평균은 16억2145만원으로 지난해 14억5516만원에 비해 1억6629만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1641명(83%)의 재산이 증가했고, 337명(17%)은 재산이 감소했다.
공직자들의 재산 증가는 부동산과 증시의 영향이 컸다.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과 종합주가지수 상승 등에 따른 가액변동으로 인한 재산증가분이 평균 9527만원으로 57.3%에 달했다. 급여 저축이나 상속, 증여 등으로 인한 순재산 증가 폭은 7101만원(42.7%)으로 나타났다.
재산 감소는 생활비 지출, 직계비속 혼인과 사망 등 기존 신고 재산의 등록제외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상자 중 10억원 미만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한 숫자는 924명으로 46.7%였다. 소유자별로는 본인 8억2439만원(50.8%), 배우자 6억3786만원(39.3%), 직계존·비속이 1억5919만원(9.9%)을 보유하고 있었다.
공개대상자 중 전체재산 1위는 이강섭 법제처장으로 직전보다 231억6645만원 증가한 350억6767만원을 신고했다. 이어 차상훈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181억5991만원), 임준택 수산업협동중앙회장(168억195만원) 등 순이었다.
광역단체장 중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59억226만원으로 1위였다. 오 시장은 전년 대비 약 10억2238만원이 늘어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선거 때 10억8000만원을 대출 받은 바 있으며, 선거 이후 비용을 보전받아 채무를 상환했다”며 “이외 재산변동내용은 예금 증가분 2억원, 주식보유 감소분 2억3300만원, 전세권 감소분 2500만원”이라고 설명했다.
2위는 46억8457만원을 보유한 박형준 부산시장이, 3위는 이춘희 세종시장(32억8744만원)이 차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는 이번에 공개한 모든 공직자의 재산 변동사항에 대해서 6월 말까지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원정 인사혁신처 윤리복무국장은 “(심사 과정에서)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한 부정한 재산 증진 혐의 등에 대해서는 법무부 장관에게 조사를 의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월 출범하는 새 정부의 국무위원 등에 대한 재산공개는 현행 공직자윤리법상 등록 시기 등을 고려했을 때 8월쯤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