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전 거주했던 경남 양산시 매곡동 사저를 지난달 처분하면서 17억원이 넘는 차익을 남긴 것으로 확인됐다. 13년간 보유하던 이 사저는 매입가의 약 3배 가격에 팔렸다.
3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과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지난달 17일 매곡동 사저 건물과 주차장 등을 총 26억여원에 매각해 17억여원의 시세 차익을 거둔 것으로 파악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7일 매곡동 사저 건물(단독주택 및 근린생활시설, 329.44㎡)과 주차장(577㎡), 논 3필지(76㎡)와 도로 2필지(51㎡)를 총 26억1662만원에 매각했다.
부동산중개업소를 통하지 않은 직거래였다. 등기가 완료되지 않아 매입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그간 퇴임 후 거주할 양산시 하북면 사저 신축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매곡동 사저를 팔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앞서 문 대통령은 매곡동 사저를 2009년 1월 23일과 3월 2일에 나눠 사들였다. 총 매입가는 이번에 매각하지 않은 잡종지 159㎡(매입가 3000만원)를 포함해 9억원이었다. 잡종지를 제외하고 계산하면, 8억7000만원에 사들인 부동산을 3배 가격으로 팔아 17억4662만원의 시세 차익이 남는다.
구체적으로 사저 건물은 2009년 1월 7억9493만원에 샀다가 20억6465만원에 매각해 12억6972만원의 차익을 거뒀다. 주차장은 2009년 3월 7000만원에 구입했다가 5억3206만원에 팔아 차익이 4억6206만원이다. 논과 도로 다섯 필지는 1991만원에 팔려 매입가(507만원) 대비 1484만원을 남겼다.
매곡동 사저의 공시가격 상승률은 약 2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 부동산정보조회 시스템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사저를 매입한 2009년 이곳의 주택 공시가격은 1억3100만원이었고 2019년 3억3200만원까지 올랐다. 지난해에는 다소 떨어진 2억9400만원이었다.
청와대는 매곡동 사저가 시세대로 자연스럽게 팔렸고 매각 과정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