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퇴임 후 계획에 대해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하고 자연으로 돌아가서 잊혀진 삶, 자유로운 삶을 살겠다”고 30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 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종정 성파 대종사 추대 법회 참석에 앞서 성파 스님과 차담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법회는 통도사 방장 성파 스님이 조계종 최고 지도자인 종정으로 추대되는 것을 축하하는 자리였다.
문 대통령은 “종정 예하께서 불교계의 화합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대통합을 이끌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임기를 마친 후 통도사 인근의 신축 사저로 향하는 문 대통령은 “퇴임하면 가까운 이웃이 되는데 자주 찾아뵙고 가르침을 청하겠다”고도 했다.
이에 성파 스님은 “문 대통령을 전부터 존경해 마음으로 가깝게 지냈다”고 화답했다.
아울러 ‘백리 길을 가는 사람은 구십 리를 반으로 여기며, 남은 십 리가 중요하다’는 뜻의 ‘행백리자반구십리’(行百里子半九十里)라는 문구를 소개한 뒤 “문 대통령이 임기를 잘 마무리하도록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후 종정 추대 법회에 참석했다.
현직 대통령이 종정 추대 법회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청와대는 전했다.
문 대통령은 축사에서 “저는 영축총림 통도사에서 종정 예하를 여러 번 뵌 적이 있다. 그때마다 큰 가르침을 받았고 정신을 각성시키는 맑고 향기로운 기억으로 간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미크론의 마지막 고비를 넘고 계신 국민께 불교가 변함없는 용기와 힘을 줄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이 ‘불심 달래기’ 행보가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정청래 의원의 ‘봉이 김선달’ 발언으로 한동안 불교계와 불편한 관계에 놓였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