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오염 때문에 21년째 멈춰선 강릉수력발전소 재가동될까

입력 2022-03-30 17:25 수정 2022-03-30 17:55
강릉시와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들이 30일 강릉시청에서 ‘강릉수력발전소 발전 재개를 위한 공론화’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강릉시 제공

수질 오염 논란으로 21년째 멈춰선 강릉수력발전소의 재가동을 위한 공론의 장이 마련된다.

강원도 강릉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은 30일 오후 강릉시청에서 ‘강릉수력발전소 발전 재개를 위한 공론화’ 협약을 체결했다. 남대천 수질 오염 문제로 가동이 중단된 강릉수력발전소의 재가동을 위한 공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강릉수력발전소는 도암댐 하류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도암댐 방류수를 이용해 연간 1억8000만kWh의 전력을 생산했다. 도암댐은 1991년 한수원이 1256억원을 들여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에 건설했다.

이 댐은 대관령면 일대의 모든 물줄기가 모이는 송천을 막아 건설했다. 그러다 보니 고랭지 채소밭의 흙탕물과 함께 축산단지, 골프장 등지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되며 수질이 크게 악화됐다. 1995년에는 하부수문을 개방하면서 댐에 쌓인 퇴적물이 하류를 뒤덮고, 하천과 상수원까지 오염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결국 도암댐 발전방류는 댐 하류 지역인 정선 강릉지역 주민 반발로 2001년 3월부터 중단됐다. 현재 도암댐은 홍수조절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와 남대천 상류에 있는 성산면 주민 등이 발전 방류 재개를 요구해왔다. 그러나 1년 내내 2급수 이상의 수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강릉시 요구와 홍수철인 7∼8월을 제외한 시기에만 2급수를 유지할 수 있다는 한수원 측의 의견이 엇갈려 접점을 찾지 못했다.

시와 한수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도암댐 현황, 환경 변화, 기술발전에 따른 수질오염 해결 능력 등에 대해 논의하고 협의를 끌어낼 예정이다. 협약서에는 발전소 재가동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절차를 위한 공청회 실시, 남대천으로 유입되는 방류수 수질 개선 방안,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 등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공론화장은 지난해 12월 강릉시 사회갈등조정위원회가 강릉수력발전 재개 공론화 필요 의견을 권고함에 따라 마련됐다. 양 기관은 장기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는 발전소 문제를 전문가의 의견과 시민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

한수원은 지난달부터 사회단체와 시민을 대상으로 남대천으로 유입될 도암댐 수질 개선사업, 남대천 건천화 현상 해결 등에 관한 사항들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다음달에는 강릉시 주민자치협의회(남대천 수계 포함) 21개 읍·면·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강릉시 관계자는 “강릉시 생명의 젖줄인 남대천 생태와 후손에게 물려줄 소중한 자원인 하천에 대해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며 “도암댐은 여러 지자체와 관계가 있는 만큼 중앙 및 강원도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협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릉=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