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평균 키는 남성 172.5㎝, 여성 159.6㎝로 40년 전보다 5~6㎝가량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율은 남성의 경우 40여년에 걸쳐 꾸준이 높아진 반면 여성은 최근 5년새 비만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8차 한국인 인체지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의류와 생활용품 등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리 국민의 인체치수와 형상 데이터를 수집·보급하는 국가 주도 데이터 사업이다. 1979년 시작된 이 조사는 약 5년 주기로 이뤄져왔으며, 이번이 8회째다.
이번 8차 조사에서는 2020년 5월부터 작년 12월까지 20∼69세 한국인 6839명을 대상으로 직접 측정 137개, 3차원 측정 293개 등 총 430개 항목을 측정했다.
그 결과 한국인의 평균 키는 남성 172.5㎝, 여성 159.6㎝로 나타났다. 1979년 1차 조사 때와 비교하면 남성은 6.4㎝, 여성은 5.3㎝ 각각 커진 수치다.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나타내는 다리 길이 비율(샅높이/키) 역시 2003년의 5차 조사와 비교해 모든 연령대에서 높아졌다. 성별로 나눠 보면 남성은 43.7%에서 45.3%, 여성은 44.4%에서 45.8%로 각각 늘어났다. 하체가 긴 ‘롱다리’ 체형이 증가했다는 의미다.
이처럼 키와 체형은 전반적으로 서구화되고 있지만, 일부 수치에선 한국인 고유의 특성이 유지됐다.
머리수직길이 대비 키의 비율을 나타내는 두신 지수는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7.2∼7.3 수준으로 나타났다. 머리너비 지수(머리너비/머리두께)도 모든 시대·연령·성별에서 0.84~0.89 수준이었다. 동양인의 특성인 두상 앞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단두형이 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남성의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22.1(1차 조사)에서 24.9(8차 조사)로 40여년간 꾸준히 높아졌다. 반면 여성은 같은 기간 22.0∼23.1에서 등락을 보여왔고 이번 조사에서는 22.6을 기록했다.
BMI는 18.5∼22.9가 표준체중이며 23∼24.9는 과체중, 25∼29.9는 경도비만, 30 이상은 중도비만으로 분류된다.
비만 비율은 남성의 경우 47.0%, 여성은 22.6%였다. 특히 여성은 7차 조사 결과와 비교해 3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도가 줄어든 가운데 50∼60대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복부비만의 지표가 되는 허리둘레 역시 직전 조사 결과 대비 남성은 전 연령대에서 늘어났지만, 여성은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줄었다.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국가 주도의 데이터 사업으로 40년간 축적한 데이터에는 격동의 시대를 거친 한국인의 인체 변천사가 담겨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인의 몸에 맞는 제품생산과 공간설계에 활용돼 우리 기업의 제품·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온 인체정보 데이터가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래지향적 신산업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인체치수조사 사업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