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가 시설에 거주 중인 장애인의 주거지원 등을 통해 사회자립을 지원한다.
시는 최근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돕기 위해 자립지원 대상자 발굴·지원기준 마련, 자립지원 체계 조성 등을 추진한다.
현재 경주지역 전체 장애인 수는 1만6616명으로 전체 시민의 6.6%를 차지한다. 시는 장애인 거주시설에 입소 중이거나 입소 대기 중인 장애인 가운데 자립을 희망하는 장애인에게 주거공간 관리·유지, 일상생활·사회참여, 권익옹호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시는 사업비 13억원을 들여 올해부터 2024년까지 장애인의 주거 결정권 보장과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우선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공공임대주택 연계해 주거환경 개선을 장애인의 주거 결정권을 보장하도록 지원한다. 또 자립지원 인력을 배치하고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지원과 건강검진비 40만원(연간), 보조기기 구매지원 300만원(연간) 지원도 강화한다.
시는 재가 장애인의 시설 입소 예방을 위해 장애인종합복지관을 비롯해 경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체험 홈, 장애인기초재활교육센터, 주간보호센터 등의 운영에도 내실을 기할 예정이다.
또 장애인 맞춤형 좋은 일자리 발굴·제공, 장애인 기초재활교육센터 및 편의시설 지원 확대 등 장애인 친화도시 실현에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장애인이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안정적으로 정착해 시민 모두가 화합하고 행복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