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김정숙 여사의 의상 구입에 청와대 특수활동비가 쓰였다는 의혹을 정면 반박했다. 탁 비서관은 김 여사의 의상 구입에 쓰인 특활비는 “한 푼도 없다”고 강조했다.
탁 비서관은 30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우리는 임기 초부터 (특활비 등) 그런 문제들에 대한 인식이 충분히 공유됐기 때문에 애초에 정부의 비용으로는 그런 옷값 등 사적 비용을 결제한 적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관저에서 키우는 개 사료 값도 대통령이 직접 부담하시는데, (특활비가 의상 구입에 쓰였다고) 그걸 그렇게 생각하는 것 자체가 상당히 놀라운 발상”이라고 덧붙였다.
탁 비서관은 진행자가 “전날 청와대가 ‘정상회담 등 공식 활동 수행 시 대통령과 영부인의 의전비용은 행사부대비용으로 최소한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혹시 ‘최소한 지원한다는 그 돈’에 의상비가 포함된 건 아니냐”고 묻자 “의전비용이라는 건 여러 가지 활동비”라고 답했다.
이어 “이를테면 상대 측에 실무 수행원에게 우리가 선물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상대 측 정상이 뭔가 우리에게 별도의 요구를 해 왔을 때 그에 대해서 배려를 해줘야 할 때도 있다. 의전비용이라는 것은 그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탁 비서관은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의전비용이 옷값이다’ 이건 말도 안 되는 억측”이라며 “(만약 옷값에) 특활비가 활용된 거라면 그러할 만한 의심 정황이라든지 혹은 증거라든지 이런 것들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재원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옷값을 사비로만 부담했으면 특활비를 공개 못 할 이유가 뭐냐’고 말한 데 대해선 “무슨 논리인지 잘 모르겠다”고 했다.
탁 비서관은 “특활비에 옷값이 포함돼 있지 않은데 특활비를 공개하면 옷값 문제가 해소된다는 건 무슨 논리냐”며 “특활비 안에도 여러 가지 항목이 있고 그중에 공개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탁 비서관은 또 “아시다시피 이미 박근혜 전 대통령의 의상 문제 때문에 국민들이 많이 분노했었다”며 “그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한 문재인정부기 때문에 애초부터 김 여사의 의상 문제에 관해선 사비로 진행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정하고 이 정부가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활비 공개에 대해서는, 아까 말씀드렸듯이 우리가 실제로 정부를 운영하다 보니 여러 가지 공개할 수 없는 이유들이 생겼다”면서 “저희가 판단할 땐 공개할 수 없는 내용들이 있기 때문에 공개할 수 없다고 최종적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차를 거쳐 공개하라고 결정한다면 따르지 않을 도리가 없다”고 덧붙였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