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영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값 논란’에 대해 “허락 없이 남의 옷장을 열면 안 된다”고 한 데 대해 전여옥 전 새누리당 의원은 “남의 옷장이 아니라 국가 행사를 위한 국민의 옷장”이라고 반박했다.
전 전 의원은 29일 SNS를 통해 “그냥 사사로운 한 여성의 ‘프라이버시 옷장’이 아니다. 당연히 영부인의 옷장은 늘 문이 열려 있어야 마땅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그동안 입 다물고 있던 청와대가 심상찮은 민심에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김정숙 옷과 장신구는 사비로 샀다’고”라며 “그러나 ‘외국 방문이나 공식 행사는 엄격한 내부 절차에 따라 최소한 수준에서 예산을 일부 지원했다’는데, 내가 낸 세금을 깨알같이 빼먹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즉 아무것도 밝힐 수 없다는 것인데, 개인카드로 썼다면 공개하기 쉬울 것이다. 저 같으면 칼같이 공개한다”고 말했다.
전 전 의원은 또 “그런데 왜 ‘김정숙 옷값’이 대통령 기록물이 됐는가”라며 “그냥 ‘남의 옷장’이라면서 왜 15년 뒤에야 공개되는가. 진짜 국민을 개돼지로 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탁 비서관은 페이스북을 통해 김 여사가 한 행사에서 2억원이 넘는 표범 모양의 까르띠에 브로치를 착용했다는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김정숙) 여사의 브로치는 명품도 아니고, 명품처럼 보이려고 했던 것도 아니다”며 “여사가 그 브로치를 착용한 것은 인도라는 국가에 대한 배려였다”고 했다.
그는 “인도는 총리가 세계 호랑이의 날에 맞춰 기자회견을 열 정도로 호랑이에 대한 관심이 큰 나라고, 이를 보고드렸다”며 “그러자 김 여사는 이전부터 갖고 있던 브로치 중 가장 어울리는 것을 선택해 착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허락 없이 남의 옷장을 열면 안 된다. 이게 상식이고 도덕”이라며 “여사의 옷장 안에는 여사의 옷만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전 전 의원은 김 여사가 2020년 12월 불우이웃성금 모금 행사에서 알이 굵은 진주 반지를 끼고 있다가 카메라를 의식한 듯 반지를 반대로 돌려 진주알을 가렸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전 전 의원은 “카메라를 의식해 진주 반지를 돌려 꼈는데, (이는) 본인도 떳떳지 못한 일인 줄 알았다는 거다. ‘김정숙 세금 사치스캔들’ 이건 빙산의 일각이지 않겠나”라고 주장했다.
김 여사의 옷값 논란은 시민단체 납세자연맹이 문 대통령의 특활비 내역과 김 여사의 옷·액세서리 등 품위 유지를 위한 의전비 정보공개를 청구하며 촉발됐다. 서울행정법원은 최근 청와대 특활비와 김 여사의 의전 비용을 공개하라는 판결을 내렸는데, 청와대는 이에 불복해 항소했다.
옷값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하자 청와대는 이례적으로 해명 입장을 냈다. 청와대는 29일 “대통령 배우자로서 의류 구입 목적으로 특활비 등 국가 예산을 편성해 사용한 적이 없다. 사비로 부담했다”며 “대통령 비서실의 특활비가 국방, 외교, 안보 등의 사유로 구체적으로 공개하기 어렵다는 것을 빌미로 무분별하게 사실과 다르게 확산하는 것은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