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제’ 내년 시행 앞두고 각 지역 준비 본격화

입력 2022-03-29 14:10
전북도청사.

내년부터 시행되는 ‘고향사랑기부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전북지역 지자체 등이 큰 기대속에 준비에 본격 나섰다.

고향사랑기부제는 주소지 외 자신의 고향 등에 기부하면 답례품과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받는 제도다. 이들이 500만원 이내에서 낸 기부금은 고향사랑기금으로 조성돼 취약계층 지원과 청소년 육성·보호, 지역 문화·예술 증진 등 주민 복리 증진 사업에 쓰인다.

전북도는 이 제도의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각 시·군과 전담팀(TF)을 꾸리고 전문가 등을 포함한 추진협의체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협의체는 홍보와 마케팅, 출향민과 교류체계 구축 등 성공적 제도 시행을 위한 밑그림을 함께 그려 나갈 계획이다. 또 연구용역을 통해 답례품 선호도 조사와 기부자 발굴에도 나설 예정이다.

도는 이 제도가 지속적인 인구 유출에 따른 세입 감소로 재정에 어려움을 겪는 지자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협의체 논의 내용을 지속해서 공유하고 보완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도와 시·군이 모두 상생할 방안을 마련해 내년 1월 제도 시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완주군도 총괄지원반, 답례품개발반, 모금홍보반 등 3개 반의 TF팀을 꾸리고 관련 조례 제정 준비 등에 착수했다.

군은 답례품으로 지역 특산품을 비롯 관광자원 체험권과 숙박권 등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 애향운동본부와 향우회 등 사회단체, 자매결연도시 등과 협조하여 인적 자료를 상반기내 구축 하기로 했다.

한 관계자는 “지방재정 확충과 지역상품 답례품 등을 통한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관련 기관·사회단체와 협업하여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농협 정읍시지부와 순창군지부 등도 최근 간담회를 열고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이 농축산물 중심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다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