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 권력 충돌 사태로 치달은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간의 갈등을 두고 국민 절반은 윤 당선인 측에 책임이 있다고 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 26~27일 이틀간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간 갈등이 깊다. 누구의 책임이 더 크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윤 당선인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응답은 50.7%로 나타났다.
반면 문 대통령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응답자는 42.9%로 나타났다. 두 응답의 차이는 7.8% 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28일 회동이 성사되기 전 이뤄졌다.
전체 응답자 중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에서는 93.7%가 윤 당선인의 책임이 더 크다는 답변이 나왔다. 반대는 3.6%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89.3%가 문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고 봤다. 윤 당선인의 책임이 더 크다고 본 경우는 5.4%였다.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55.3%가 윤 당선인 책임이 더 크다고 응답했다. 문 대통령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응답은 35.8%였다.
‘윤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구체적 질문에는 53%가 ‘임기까지는 문 대통령이 행사해야 한다’고 답했다. 40.4%는 ‘윤 당선인의 요청대로 행사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그 외에 윤 당선인의 사법 개혁 공약인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폐지에 대해서는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38%, ‘폐지하면 안 된다’는 의견이 41.4%로 오차 범위 내 차이를 보였다.
안철수 위원장을 필두로 활동 중인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대해서는 ‘잘 못 하고 있다’는 응답이 46.2%,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29.6%였다. ‘보통 수준’은 17.7%로 집계됐다.
오는 5월 10일 출범할 윤석열정부에 대한 기대감을 묻는 말에는 ‘높은 기대’를 갖고 있다는 응답이 46.4%, ‘낮은 기대’를 갖고 있다는 응답이 50%였다.
오는 6월 1일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밝힌 응답자는 43.8%,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밝힌 응답자는 41.9%였다. 정의당은 3.2%에 그쳤다. ‘없다’는 응답률은 7.9%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ARS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