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향한 ‘권력 유지 불가’ 발언이 잔혹한 공격에 대한 도덕적 분노를 개인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에 대한 정책 변화를 의미한 것은 아니라면서도 발언을 철회하거나 사과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2023 회계연도 예산안 관련 백악관 연설 직후 기자회견에서 “나쁜 사람들이 계속해서 나쁜 짓을 해서는 안 되는 것처럼 그가 권력을 유지해서는 안 된다는 분노를 표현한 것”이라며 “나는 푸틴이 대하는 방식과 이 사람의 잔인한 행동에 대해 느끼는 도덕적 분노를 표현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런 사람들이 나라를 지배해서는 안 되지만 그렇게 하고 있다”고 거듭 말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러나 “(미국이) 어떤 식으로든 푸틴을 무너뜨리기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근본적인 정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러시아에 대한 정책 변화를 하고 있지 않다는 점도 분명히 하고 싶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주 유럽 순방 마지막 날 연설에서 “이 사람(푸틴 대통령)은 권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말했고, 논란이 일자 백악관은 “정권 교체를 의미한 것이라는 아니다”는 설명 자료를 배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자신의 발언이 갈등을 악화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난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아무도 내가 푸틴을 무너뜨리는 것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고 믿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푸틴 대통령이 전쟁을 확대하기 위해 자신의 발언을 이용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그가 어떻게 생각하든 상관없다. 그는 다른 사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며 “그는 자신이 하려는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문에 없는 발언을 왜 했느냐’는 질문에 “연설 마지막 부분은 러시아 국민에게 말하는 것이었다”며 “나는 이런 종류의 행동은 전혀 용납될 수 없다는 단순한 사실을 말한 것으로, 러시아 국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알리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폴란드 바르샤바에 온 우크라이나 난민) 가족들과 함께하고 싶었을 뿐”이라며 “그 발언을 철회하지 않고, 사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푸틴)가 이 과정을 계속한다면 그는 전 세계적인 왕따가 되리라 생각한다”며 “국내 지지 측면에서 그게 어떻게 될지 누가 알겠느냐”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과 만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가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지에 달려 있다”고 답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