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관광정보 및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디지털 관광콘텐츠를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생산·관리·개방하기 위해 협업 기반 개방형 플랫폼 ‘한국관광 콘텐츠랩’(conlab.visitkorea.or.kr)을 구축, 베타서비스를 28일 오픈했다.
한국관광 콘텐츠랩은 전국의 관광콘텐츠를 한 데 모아 기존에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개별 생산·관리되고 있던 관광콘텐츠의 관리체계를 일원화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공공 부문의 콘텐츠 중복 생산 방지, 관광콘텐츠 표준 관리체계 도입, 체계적 관리를 통한 품질 개선 등 관광콘텐츠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현재 다국어 관광정보, 이미지 등 약 70만 건의 관광콘텐츠가 등재돼 있다.
또한 관광공사는 앞으로 민간 유력매체와 콘텐츠 제휴를 통해 다양한 여행정보서비스를 포털사이트, 온라인 여행사 등에 제공할 예정이다. 지자체나 지역관광공사(RTO)도 한국관광 콘텐츠랩을 통해 지역 관광지를 알리는 홍보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공사는 베타서비스 오픈 이후에도 지속적 업데이트를 통해 서비스 사용성을 제고하고 지자체·RTO와 협력해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확보해나갈 계획이며 오는 4월 말 정식 서비스를 오픈한다.
김경수 관광공사 디지털콘텐츠센터장은 “올해는 업계의 수요가치가 있는 양질의 콘텐츠를 공공분야 중심으로 확보하는 데 주력하는 동시에 민간과 적극적인 서비스 제휴를 통해 확보된 콘텐츠가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지속가능한 관광콘텐츠 생태계가 구현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생산·활용주체 간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정기적 소통을 통해 수요에 부합하는 양질의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남호철 여행선임기자 hc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