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회동 추진이 다시 급물살을 타는 모양새다.
양측은 소통 채널을 다시 열어두고 만남 조율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갈등의 원인으로 지목됐던 감사위원 인사 문제가 해소되면서 협의를 재개할 여지가 생긴 것이다. 한 관계자는 26일 통화에서 “양측의 장애물이 걷힌 상황”이라고 전했다.
감사원은 지난 25일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된 논란이나 의심이 있을 수 있는 상황에서 제청권을 행사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최재해 감사원장이 사실상 새로운 감사위원 제청을 거부한 셈이다. 이로써 문 대통령의 임명 강행도 어려워졌다.
이후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물밑 소통 채널을 재가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수석은 대화를 통해 잘 해결하자는 취지의 의견을 장 실장에게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 실장도 열린 태도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가 조건 없는 만남을 주장해오는 만큼, 특별한 의제 없는 만남으로 양측이 조율할 가능성도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4일 “나는 곧 물러날 대통령이고, 윤 당선인은 곧 새 대통령이 되실 분이다. 두 사람이 만나 인사하고 덕담 나누고 혹시 참고될만한 말을 나누는데 무슨 협상이 필요한가”라고 말한 바 있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문제에 여전히 이견이 존재하지만, 윤 당선인 입장에서도 갈등을 장기적으로 끌고 가면 득 볼 게 없다는 계산을 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 북한의 미사일 도발 대응 등 차기 정부 출범을 위해 준비할 현안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윤 당선인이 선출 이후 줄곧 ‘국민통합’을 강조해온 만큼, 두 사람의 만남이 가진 상징적 메시지 또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다른 관계자는 “정권 이양기에 현 대통령과 대통령 당선인의 만남이 가진 의미를 양측이 아는 만큼, 어떻게든 접점을 찾으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말 중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면 이르면 다음 주 초라도 회동이 전격 성사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