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전국에서 처음 환경기초시설 입지 선정방식을 공모로 전환한 가운데 최근 폐기물소각시설 후보지 공모에 응모한 3개 마을에 대한 심사가 본격화된다.
도는 서귀포시 상예2동과 중문동, 안덕면 상천리 마을이 신규 광역 폐기물소각시설 후보지 공모에 응모함에 따라 타당성 조사에 들어간다고 25일 밝혔다.
입지 타당성 조사는 주민들의 적극성과 주변마을 협력도 등 지역 여건과 경관, 생태계·수질 등에 미치는 영향 등 환경영향적 여건, 부지 면적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 여건, 시공 용이성 등을 평가하는 경제적 여건 등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조사 기간은 오는 6월까지로, 도는 타당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입지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입지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이들 3개 마을은 마을총회와 일정구역 이내 거주세대 80% 이상의 동의를 거쳐 응모 절차를 밟았다.
일부 마을은 최소 부지면적 요건(2만7000㎡)을 충족하기 위해 사유지가 포함되는 경우 토지 소유자의 매각 동의서를 함께 제출했다.
해당 시설에 대해 마을 자생단체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확약서도 넣었다.
신규 광역 폐기물소각시설은 하루 처리용량 380t 규모다. 2025년 착공 후 2028년부터 현재 도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해양폐기물과 하수 및 음식물쓰레기의 슬러지 처리를 맡게 된다.
이처럼 도내 마을이 환경기초시설 유치에 때 아닌 경쟁을 벌이는 것은 마을로 돌아가는 경제적 혜택이 크기 때문이다.
선정된 마을에는 태양광시설, 사우나, 복지회관 등 260억원 상당의 주민편익시설이 설치된다. 또 주민들은 매년 폐기물 반입 수수료의 10%를 장학사업 등 복리에 사용하게 된다.
도 관계자는 “예상보다 많은 마을이 응모했다”며 “주민수용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