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증진을 위해 투쟁하던 배달 노동자가 업무 중 교통사고를 당해 사망하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서비스일반노조가 추모제를 열었다. 노조는 이번 사고를 산업재해로 규정하면서 배달 노동자의 안전을 위해 플랫폼 기업과 정부 모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25일 오전 11시부터 서울 신논현역 교보타워 사거리에서 배달 플랫폼 노동자 고(故) 조병철씨의 추모제를 개최했다. 고인은 생전 노조 배달플랫폼지부 남부분회 대의원으로 활동했다.
추모제가 열린 교보타워 사거리는 고인이 사고를 당한 곳이다. 노조는 발인을 마친 후 이곳에 다시 모였다. 배달 오토바이 100여대에는 추모 리본이 달려 있었다. 조씨는 지난 9일 배달 중 신호를 위반한 택시와 충돌했다. 병원으로 후송됐으나 11일 뒤인 지난 20일 62세의 나이로 숨을 거뒀다. 장례는 노동조합장으로 치러졌다.
강규혁 서비스연맹 위원장은 추도사를 통해 “고인은 쉬는 날인 대통령 선거날 사고를 당했다. 아마도 쉴 새 없이 주문 콜을 받았을 것”이라며 “플랫폼 업체는 주요 시간대에 프로모션을 걸고 빠른 배달을 요구하기 때문에 배달 노동자들은 서둘러 오토바이를 몰고 있다. 하지만 사고가 나면 책임은 오롯이 우리의 몫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는 줄었지만 배달 노동자 사고는 늘었다. 코로나 시대에 배달 노동자는 1년에 2번은 사고를 당한다”며 “배달 노동자는 인생을 걸고 배달한다. 유상종합보험 가입 의무를 법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배달 노동자들의 반복되는 죽음은 단순 교통사고가 아니라 산재”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18명이 배달 중 사망했다. 이성희 배달의민족 부지회장은 “노동자와 기업, 정부 등 이해관계자들이 안전배달제 도입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나눠야 한다”며 “우리는 산재보험 등 사고 처리는 물론 안전배달제 도입, 배달공제조합 설립, 이를 위한 예산안 반영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추모제 후 노조는 고인의 운구차를 따라 서울 추모공원까지 오토바이 100대와 행진했다. 이들은 4월 7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월 2일에는 500명 규모의 오토바이 행진을 진행할 예정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