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55%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향후 5년 동안 직무 수행을 잘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5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22∼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윤 당선인이 앞으로 5년 동안 직무를 잘 수행할 것으로 보느냐’고 물은 결과 응답자의 55%가 ‘잘할 것’, 40%가 ‘잘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의견을 유보한 이들은 5%였다.
윤 당선인의 향후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전망은 과거 같은 시기 다른 당선인들에 대한 긍정 전망보다 낮은 편이다. 한국갤럽은 “전임 대통령들의 당선 2주 이내 시점 직무 수행 긍정 전망은 80% 내외였다”고 밝혔다.
실제로 갤럽이 역대 대통령 당선인의 향후 국정 운영에 대한 기대치를 조사한 자료를 보면, 2007년 12월 당시 이명박 당선인은 84%, 2012년 12월 당시 박근혜 당선인은 78%의 긍정 전망을 기록했다. 보궐선거로 치러져 당선인 기간이 없었던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5월 당선 직후 87%의 긍정 전망을 나타냈다.
윤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추진에 대해서는 53%가 ‘청와대 집무실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며 반대했다.
‘용산 이전’에 대한 찬성 입장은 36%였으며, 의견 유보는 10%였다.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에 대해서는 39%가 ‘사면해야 한다’고 답했고, 50%가 ‘사면해서는 안 된다’고 응답했다.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 수행 지지도는 긍정 평가가 44%로 지난주(15~17일) 조사 대비 2% 포인트 상승했다.
부정 평가는 1% 포인트 하락한 51%였다.
문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긍정 평가한 응답자들은 ‘외교·국제 관계’(13%), ‘코로나19 대처’(10%),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8%) 등 순으로 이유를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의 이유 중에서는 ‘새 정부·당선인에 비협조’가 19%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동산 정책’(16%), ‘코로나19 대처 미흡’(9%) 등 순이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전화 조사원이 무선 90%·유선 10%의 무작위 전화 걸기(RDD)로 인터뷰했으며, 응답률은 13.5%다.
그 밖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