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 사건(인혁당 사건) 희생자 추모기관인 4·9통일평화재단은 24일 박근혜 전 대통령을 향해 소주병을 투척한 40대 남성 A씨에 대해 “사건 피해자들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4·9재단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1975년 4월 8일에 형이 확정된 인혁당 사건 피해자는 사형수 8인을 비롯해 총 25명”이라며 “당사자들 또는 당사자의 배우자들은 현재 모두 70세를 넘긴 고령이다. 자녀·손자녀들 중에도 A씨와 같은 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A씨가 활동하고 있다고 주장한 ‘HR_인민혁명당’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해선 “인혁당 재건위 사건 피해자들과 전혀 무관한 곳”이라면서 “유족들 동의 없이 인혁당 사형수 8인의 사진을 게시해 여러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시정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했다.
A씨는 이날 박 전 대통령이 대구 달성군 사저에 도착해 대국민 인사말을 시작한 지 1분여 만에 소주병을 던졌다. 소주병은 박 전 대통령 왼쪽 앞 3m 지점 바닥에 떨어졌다. 다친 사람은 없었다. A씨는 현장에서 경찰에 의해 체포됐다.
A씨는 이후 언론 인터뷰 등에서 자신이 인혁당 사건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A씨는 가슴 부위에 ‘인민혁명당에 가입해 주세요’ ‘사법살인진실규명연대’라고 쓰인 종이 팻말을 달고 있었다
인혁당 사건은 1964년과 1974년 중앙정보부가 ‘북한 지령을 받은 대규모 지하조직’이라며 수십명을 검거한 사건이다. 2차 인혁당 사건 당시 사건 관계자 8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고 18시간 만에 형이 집행됐다. 지난 2007년 서울중앙지법은 앞서 사형된 관계자들에 대해 재심 무죄 판결을 내렸다.
박 전 대통령은 대선 후보였던 지난 2012년 9월 10일 인혁당 사건을 두고 “대법원 판결이 두 가지로 나오지 않았느냐. 앞으로의 판단에 맡겨야 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이후 발언과 관련해 논란이 일자 2주 만에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5‧16, 유신, 인혁당 사건 등은 헌법 가치가 훼손되고 대한민국의 정치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피해자와 가족들에게 사과했다.
4·9재단은 인혁당 사건 희생자들의 유가족 등이 출연한 기금으로 2008년 설립됐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